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득 쌓인 날 초등학교는 전교생이 운동장에서 놀기 마련이다. 눈싸움은 해도 비싸움은
못
들어봤다.구름이 된 수증기가 눈이 되는 현상은 흔히 빙정설이라고 알려진 베르게론-핀다이젠 설로 설명한다. 1933년 T. 베르게론이 자신의 저서 ‘눈 생성 과정에 대한 변화 이론’에서 주장한 이론을 1938년 W.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유리창을 둬야 하는데 이 때문에 비행기 머리가 미사일처럼 상하대칭 형태가 되지
못
한다”고 지적했다.결국 사람이 타면 완전한 유선형으로 만들 수 없어 유체역학적으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사람이 타지 않는 무인기는 이런 면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점점 더 SF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벌써 만델링을 다 마셨나요. 그럼 새로운 커피를 내릴게요. 어차피 밤을 지새울 테니 잠
못
잘 걱정은 안 해도 되니까요. 이건 ‘하와이안 코나’라고 부르는 커피예요. 가볍고 산뜻한 느낌이 장점인 커피죠. 볶을 때도 강하게 오래 볶을 수 없어요. 향이 죽어버리거든요. 병충해에도 약하다는 단점도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본체에서 동시에 관측할 계획이었지만, 지상에서는 어떤 망원경도 관측하는 데 성공하지
못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래도 결과는 성공이었다.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2010년 10월 ‘사이언스’에 실렸는데, 충돌로 날아간 물질 중에 약 5.6%가 물로 드러났다. 무게는 약 155kg이었다.불지옥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않겠지만 대피할 수 있는 경로와 공간은 충분한지 등등. 그런데 일상적으로 생각하지도
못
한 데서 불이 나는 경우가 있다.우선 가전제품 전원 코드를 꽂은 상태에서 가전기기 전원만 끄면 안전하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원을 오프(off)시켰다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 ... ...
200호 영예의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바로…어린이과학동아 대상 수상자는 깔깔깔. 바로 나! 헷갈리나라고!헷갈리나는 정말
못
말려~! 빨리 진짜를 발표해 달란 말이에요.깔깔깔. 어린이과학동아 대상! 그 주인공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를 열심히 읽고 사랑해 주는 열혈독자 여러분입니다~! 기사와 만화를 꼼꼼히 읽고 정성스레 쓴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좌우하는 근거로 쓰이곤 한답니다. 마치 양 날의 검처럼 제대로 사용하면 유익하지만, 잘
못
활용하면 위험하지요. 오늘 오류를 저지른 분들은 모두 이번호 수학동아 확률 기사를 10번씩 읽어 오세요! 땅땅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여는 세상은 과연 현실일까 이야기 속 세계일까 궁금해진다.체험하거나 인식하지
못
하는 대상은 과연 현실일까 아닐까. 분명 존재하지만 눈으로 볼 수 없었던 현실을 만나보자. 현미경 속 세계를 탐구한 ‘와우! 현미경 속 놀라운 세상’으로 실제 현실과 가공의 현실 사이의 애매한 차이를 확인할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하드디스크 DNA와 다채로운 기능으로 새롭게 주목 받는 RNA, 그리고 아직 인류가 합성하지
못
하고 있는 세포 내 기관 단백질들이 서로 정교하게 협력하고 있다.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이후 DNA는 생명의 설계도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군림했다.하지만 60주년을 맞은 오늘날, 이런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동중국해에 유전은 어디에“1968년에 얻은 자료는 당시 조사기술의 한계 때문에 믿을게
못
돼요. 석유가 있을만한 퇴적층을 발견한 것은 사실이지만, 석유가 어디에 얼마만큼 매장돼 있는지는 처음부터 다시 조사해야 합니다.”1968년 유엔 아시아극동경제위원회(ECAFE)의 조사결과는 지금 보면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