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cm인 구멍을 수백m 깊이로 뚫고, 안에 파이프를 넣어 시멘트를 주입한다. 시멘트는 파이프
바깥
과 시추공 사이에 채워져 시멘트관을 형성한다. 그다음에는 더 작은 드릴로 지름이 66.04cm인 구멍을 1~1.5km까지 뚫고 다시 시멘트를 채워 외벽을 만든다. 이를 반복하면 시추공의 붕괴를 막으며 점점 깊이 ... ...
지구 닮은 슈퍼지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금까지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는 뉴스를 여러 번 보았는데요.행성 : 지금까지 태양계
바깥
에서 발견된 행성은 대개 ‘목성형 행성’이에요. 목성처럼 기체로 이뤄져 있다는 뜻이죠. 크기도 너무 크고 기온도 낮아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요.기자 : 앞으로 이 행성에서 외계인을 만날 ... ...
'트위스트' 춤추는 59층 빌딩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아키텍처 빌딩’은 모든 층이 5분마다 한 바퀴씩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때문에
바깥
에서 본 빌딩의 외형은 계속 변하고 빌딩 안의 전망은 볼 때마다 달라진다.이 빌딩의 가장 큰 특징은 풍력발전기가 달려있다는 점. 총 59층인 빌딩의 각 층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얇은 풍차가 총 48개 달려 ... ...
목성은 지구의 '보디가드'?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외곽에서 오는 혜성으로부터 지구를 지켜주는 방패 역할을 해왔다고 여겼다. 태양계
바깥
쪽에서 지구로 향하는 많은 혜성이 목성의 강한 중력 때문에 경로가 틀어지거나 다시 태양계 밖으로 튀어나가기 때문. 실제로 1994년 슈메이커-레비 혜성은 목성의 강한 중력에 이끌려 목성과 충돌했다.하지만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형태다. 톡 쏘는 탄산음료를 담고 있으니까 병모양도 튀게 만든 것일까?“탄산음료는
바깥
에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한 상태로 병 내부의 압력이 2.5~3.5기압이나 됩니다. 따라서 생수병 모양이라면 밑이 압력을 이기지 못해 불룩하게 튀어나오죠.”국내 최대 규모의 페트병 생산업체인 효성의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생충은 몸
바깥
쪽에 있는 경우가 많다. 가상의 기생충인 심비오트는 후자처럼 숙주의
바깥
쪽에 기생한다.닥터 둠출현 영화 : 판타스틱4하하. 안녕하시오. 난 닥터 둠이라고 하오. 뭐? 갑옷을 입고 있어서 이상하다고? 이 갑옷이 어떤 갑옷인지 몰라서 그러는 모양인데, 이건 원자력으로 작동하는 ... ...
페가수스가 마신 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화성 등 태양계의 형제 행성에서 얼음 형태의 물이 발견된 건 아시죠? 그러나 태양계
바깥
에서 물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에요. 이 행성은 가스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물이 있다고 해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없다고 해요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조절하는 원심신경 색소포 내의 색소과립을 확산 또는 응집시키거나 또는 색소포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붙는 색소포근(色素胞筋)을 수축 또는 이완시켜 동물의 체색을 변화시킨다물체의 표면색(表面色)에서 공통으로 지각되는 색상 · 명도 · 채도 등 세 가지의 독립된 성질 평면 모양의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쉽게 볼 수 있어 현재 우리가 요일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을 만큼 친숙하다.하지만 토성
바깥
궤도에서 태양을 돌고 있는 천왕성은 망원경으로 발견한 첫 행성으로 기록될 만큼 어두워 맨눈으로 보기가 쉽지 않다.맑은 날 별자리지도를 가지고 어두운 곳에 나가 천왕성을 찾아보자. 물병자리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종이를 한 바퀴 돌아 본래의 위치에 돌아오면 최초의 면과 반대면이 되므로 이 곡면은
바깥
쪽과 안쪽의 구별이 없는 면(단측면〈單側面〉)임을 알 수 있다곡면의 이러한 성질을 처음 지적한 A F 뫼비우스를 기념하기 위해 이 곡면을 「뫼비우스의 띠」라고 부른다 1929~ 독일의 물리학자 뭔헨에서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