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의"(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같은 인도 불교에서의 수 관념이 겹쳐진 것이다.억조창생은 몇명?옛날부터 중국에서는 수의 단위를 10개로 분류했다. 억, 조, 경, 해, 자, 양, 구, 간, 정, 재였다. 재는 바로 중국에서 써오던 가장 큰 수를 나타내는 말이었다. 단, 십, 백, 천, 만(${10}^{4}$), 십만, 백만, 천만, 억(${10}^{8}$), 십억, 백억, 천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과학동아 l1999년 07호
- 마방진을 만드는 방법 - 아들러의 연산법이미 알고 있는 마방진 2개를 결합해 새로운 차수의 마방진을 만들 수 있다. 그림은 3차 방진과 4차 방진을 결합해서 12차의 방진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4차 방진의 숫자에 해당하는 칸에 3차방진을 배열해 넣는다. 4차 방진 내의 해당 숫자만큼 배가된 3차 ...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국내에서 복제기술을 활용해 우량 젖소와 한우를 생산하는데 성공한 황우석 교수(서울대 수의학과)는 바로 이 점을 지적한다.황교수는 “돌리의 생식능력이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볼 때 돌리는 젊은 양으로 판단된다”고 말한다. 그는 “양의 나이를 측정하는 외양적인 지표인 치아의 마모도, ...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했다면 안타레스(심수의 기준별)에는 물론 전갈자리에서 12번째로 어두운 뮤(μ)별(미수의 기준별)에도 탑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서양식으로 보면 뮤별은 4등성 근처의 어두운 별일 뿐이다.고구려의 천문관념을 연구한 종교학자 김일귄씨는 “12-13세기의 천문사상을 탑 배치와 연결시키고자 ...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찾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그렇다면 황구는 정말로 식용으로 선호할 만한 개일까. 서울대 수의학과 윤화영 교수는 같은 품종이라도 털의 색깔에 따라 육질이나 영양에 차이가 있다는 주장은 인정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다만 혈연관계가 복잡한 똥개(잡종)의 경우 부모의 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 ...
- ② 단 하나의 정자로도 수정 가능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주요 관심은 ‘어떻게 하면 건강한 정자를 많이 확보할 수 있을까’에서 ‘극히 적은 수의 정자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로 전환되고 있다.그렇다면 난자는 쉽게 구할 수 있을까. 남성의 정소에서는 사춘기 이후 노년에 이를 때까지 계속해서 정자가 만들어진다. 이에 비해 여성은 매달 하나의 ... ...
- ⑦ 복제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자궁세포, 미국의 생쥐 큐물리나는 난구세포를 복제해 태어났다. 얼마전 서울대 수의학과의 황우석교수가 복제에 성공한 송아지 영롱이와 진이 역시 각각 어미소의 자궁세포와 귀세포가 이용됐다. 이 외에도 황교수가 복제 수정란을 착상해 임신에 성공한 20여마리의 복제소들 가운데 수컷은 없다 ...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길이가 0이 되는 점들의 집합체이므로 언뜻 보기엔 0차원으로 생각되는데 흥미롭게도 소수의 차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칸토어 집합과 단순한 점들의 집합체는 서로 다를 것이라는 것은 당연하다.코흐곡선 (Koch curve)1904년 헬게 폰 코흐에 의해 만들어진 곡선으로 정삼각형의 ... ...
- 열역학의 세계과학동아 l1999년 03호
- 열역학으로 볼 때 불가사의한 현상이다. 생명체가 태어나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많은 수의 분자가 정확하게 배열돼야만 한다. 따라서 생명체의 탄생은 제2법칙에 위배되는 현상이다. 오히려 모든 것이 자연으로 흩어져 버리는 죽음이 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인다.제2법칙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 ... ...
- ③ 과학기술용어과학동아 l1999년 03호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세평방정리’라고 한다. ‘씨수의 덜기’는 ‘소수의 뺄셈’이고 ‘안같기식’은 ‘부등식’을 말한다. 그리고 수학에서 말하는 ‘모임’은 ‘집합’이다. 맨앞에 ‘어느날 갑자기’라고 쓴 것은 우리가 준비없이 통일을 맞이할 경우를 뜻한다.현재 남과 북에서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