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전"(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있는 공룡족보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머리뼈가 특징이며 두발로 걸었다. 북미와 유럽, 아시아, 마다가스카르섬에서 몇개의 불완전한 뼈들이 발견된 것을 제외하고 단지 스테고케라스와 파키케팔로사우루스만이 자세히 알려져 있다. 크기는 1.9-9m로 다양하다. 이빨은 작고 단순하며 약간 톱니모양인 점을 빼고는 별 특징이 없다.불쑥 ...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식사를 하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자아내도록 만들고 있다. 공간과 일체 되는 구도의 완전성 그림 속의 예수를 중심으로 열두 제자들이 각각 세 명씩 한 그룹을 형성, 좌우로 두 그룹을 배치함으로써 화면의 통일성을 고양시키고 있다. 예수의 뒤에 있는 세 개의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빛과 그 너머 ...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방식의 해시계를 만들었다. 이렇게 되면 지구 주위를 도는 태양의 위치를 거의 완전하게 재현할 수 있다. 앙부일구의 내부에 설치된 영침(影針, 그림자를 만드는 침)의 방향을 지축과 평행한 정북극 방향을 맞춘다. 영침의 끝은 구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앙부일구의 평면은 그 지점의 수평면이 된다. ... ...
-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내에서의 연료분사 압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연료와 공기와의 혼합이 촉진되기 때문에 완전연소에 근접하게 된다. 우수한 연비 및 낮은 배기가스를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안겨준 표준이론이다. 그러나 표준이론의 이론적인 근거는 출발부터 수학적으로 불완전했다. 특히 이 이론이 질량이나 전하를 자세히 계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지가 분명하지 않았다. 호프트(Gerardus ‘t Hooft)와 벨트만(Martinus J. G. Veltman)이 올해 노벨상을 받은 것은 바로 이 이론에 대한 든든한 ... ...
- 첨단 도청 기술과학동아 l1999년 11호
- 포졸이 한 도둑 못 잡는다’고 했다. 어차피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도청하려는 사람을 완전히 막아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때문에 우리사회에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가는 도청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안기술과 기기들을 계속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은밀하고 폐쇄된 생활로부터 ...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미국의 미래학자 제프리 피셔에 따르면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2012년에 발병 메커니즘이 완전히 밝혀지고, 2015년에 치매발병 유전자의 작동원리가 알려지며, 2020년에 먹는 약으로 간단히 치료를 할 수 있고, 2021년에 그 치료율이 95%에 달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제프리 피셔의 예견대로라면, 그리고 ...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과학동아 l1999년 11호
- 특징이 없다. 각 조각이 모여 어떤 단백질을 만들어내는지도 불확실하다. 그런데 이 불완전한 ‘유전자’에 대해서 미국 특허청이 허가를 내린 것이다(1백20여만개 가운데 일부에 대해서만 특허가 허가됐다).생명공학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가장 큰 반발은 미국 특허청의 판단이 생명공학의 연구를 ... ...
- 복제양 돌리 어미와 똑같지 않아과학동아 l1999년 10호
- DNA에 존재하는 유전자가 눈 색깔과 같은 다양한 성질을 결정한다. 이 점에서 보면 돌리는 완전한 클론이다. 그러나 세포는 핵의 외부, 즉 미토콘드리아에도 DNA(mtDNA)를 포함하고 있다. mtDNA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조절하며 그 양은 세포가 가지고 있는 DNA의 1%에 불과하다. 돌리는 이 mtDNA가 어미양과 ... ...
- 인간게놈프로젝트과학동아 l1999년 10호
- 것이다. 게다가 1978년 처음으로 파이X174 바이러스 DNA 안에 있는 5천3백86개의 염기를 완전하게 배열했다. 이 공로로 1980년 월터 길버트(1932-), 폴 버그(1926-)와 함께 두번째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1982년에는 DNA 재조합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아에 인간의 인슐린 유전자를 집어넣어 세번째 노벨상을 받는게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