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우크라이나 체르노빌의 청개구리는 다른 청개구리보다 훨씬 까맣다고 해요. 그 이유는 다름 아닌 멜라닌 때문?! 체르노빌과 청개구리 사이의 비밀을 밝혀낸 이 연구 기사에 투표해 주세요! 우크라이나 체르노빌에 사는 청개구리는 다른 곳에 사는 청개구리보다 까맣습니다. 2016년 스웨덴 웁 ... ...
- [4컷 만화]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지난 11월 2일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안동준 교수팀과 연세대학교 화학과 김병수 교수팀은 얼음이 얼거나 녹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얼음이 어는 속도를 조절하는 결빙 제어 기술은 그동안 극지방 생물들의 체액에 있는 ‘결빙 제어 단백질’의 기능 ... ...
- [AAAS 2022 카블리 과학 저널리즘상] 우동수비대 이다솔 기자 국제 과학언론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의 이다솔 기자가 우리동네 동물원 수비대(우동 수비대) 기사로 전 세계 과학 언론인을 대상으로 하는 2022 AAAS 카블리 과학 저널리즘상 어린이 과학뉴스 부문 은상을 수상했어요. AAAS 카블리 과학 저널리즘상은 과학언론 최고 권위의 상이에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는 세계 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나노를 탐구하는 양자나노과학연구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1m가 10분의 1씩 아홉 번 작아지면? 10억분의 1m를 1nm(나노미터)라고 합니다. 이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로 작은 세계죠. 이화여자대학교 연구협력관에 위치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으로 어과동 독자기자단이 다녀왔습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에서는 나노의 세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소셜미디어 속 사람들이 부러운 나, 어떡하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안녕! 우리는 우주와 지구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소원을 들어준다는 원석 ‘ZEM 스톤’을 모으는 ZEM FIVE야. 앞으로 ZEM FIVE와 함께 디지털 바른 생활을 배워보도록 해. 이번 시간에는 소셜미디어의 바른 이용법에 대해 알아 볼까? 당신의 하루 평균 소셜미디어 사용량은?여러분은 소셜미디어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 임영웅이 되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아! 아! 하나둘 셋, 하나둘 셋, 마이크 테스트!”동화나라가 오랜만에 시끌벅적해졌어요. 코로나19로 그동안 열리지 못했던 동화나라 전국노래자랑이 3년 만에 열리게 됐거든요. 꿀록 탐정도 마을 사람들과 노래자랑 준비를 돕고 있었어요. 그런데 꿀록 탐정의 눈에 울상을 한 누군가가 보였어요. ... ...
- [찰칵! 전시회] 반짝반짝 오색 찬란, 도형 나라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삼각형, 오각형, 원부터 정십이면체와 구까지 모든 도형이 모여 산다는 ‘도형 나라’에 손님이 찾아왔어요. 동그란 구슬이 옹기종기 모여 ‘원’을 이루고 있는 입구가 어린이 손님을 맞아주네요. 유리구슬 너머 도형 나라는 어떤 모습일까요? 덴마크의 작가 올라퍼 엘리아슨이 만든 세상 속으로 ... ...
- [꿀꺽! 수학 한 입] 이건 몰랐어! 동화 속 이야기 2. 피노키오는 거짓말을 몇번했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꼭두각시 인형 피노키오, 나는 네가 좋구나~.” 동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랜 시간 어린이의 사랑을 받아온 동화 속 주인공, 피노키오! 거짓말을 하면 피노키오처럼 코가 늘어날까 걱정해본 적 있나요? 피노키오의 코는 과연 몇 번이나 늘어날 수 있었을까요? 피노키오 코의 비밀은 무엇인지 함께 ... ...
- [특집] 인류의 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현재 지구에 사는 인간은 모두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단 한 종입니다. 하지만 수십만 년 전 유럽에는 네안데르탈인, 러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는 데니소바인이라는 인류가 있었죠. 과거를 다녀온 것도 아닌데 지금은 사라진 인류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스반테 페보 박사는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전설의 버섯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심봤다!”눈앞에 보이는 아름다운 버섯의 정체는 제가 올해 7월 경기 북부에서 만난 ‘분홍털땀버섯’이에요. 저는 이렇게 야생에 숨겨진 버섯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있는 생태사진작가 박상영이라고 합니다. 이번 호부터 제가 직접 촬영한 야생버섯들의 신비로운 매력을 알려드릴게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