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발
파열
폭팔
격앙
넘쳐흐름
끓어오름
넘쳐흐르는 상태
d라이브러리
"
폭발
"(으)로 총 2,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먹고 힘내는 휴대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또 휴대전화용 연료전지는 그 동안 메탄올을 원료로 많이 연구했는데 물을 이용하면
폭발
하지 않아 더 안전하다고해요. 환경에도 좋고요. 앞으로 휴대전화 배터리가 꺼지면 물만넣어도 될까요 ... ...
세계 최장수 다이아몬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광물이었어. 지르콘을 분석한 결과 내가 30~42억 년사이에 태어났다는 결과가 나왔지.요즘
폭발
적인 인기로 바쁘신데 인기 비결이 뭐죠?역시 긴 세월에도 변치 않은 잘생긴 얼굴 때문이 아니겠어? 후훗. 사실은 난 ‘암흑기’ 로 불리는 지구 초기 모습에 대한 열쇠를 가지고 있거든. 태어난 지 얼마 ... ...
폭삭~! 정화조
폭발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없애는 사업을 하고 있다. 사진은 하수종말처리장의 모습.닥터고글은 마지막으로
폭발
이 아니라 땅이 그대로 주저 앉았을 가능성도 빼놓지 않는다. “정화조를 묻은 지 오래 되면 땅 속의 물이 정화조 주변의 흙을 깎아 낼 수 있어요. 결국 정화조 주변으로 틈이 생겨 점점 커지게 돼요.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다양한 우주입자를 관측해. 이 실험으로 유성이나 오로라는 물론 지구의 대형 화재와
폭발
을 관측할 수 있어.❾ 국제우주정거장 소음을 막는 귀마개 개발다양한 기계소리로 가득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기계음은 안 들리고 사람 목소리는 잘 들리는 귀마개를 개발하고 있어. 우주에서 귀마개의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활발했다. 그리스 펠라고스 지역 등에 많은 난파선이 있다.이탈리아 바이아3세기 화산
폭발
로 아름다운 신전과 도시가 바다에 가라앉았다.지중해 알렉산드리아기원전 332년 최고의 무역항. 100m가 넘는 등대가 있었지만 지진으로 하룻밤 새 물에 잠겼다.아프리카 난파지역인도와 동양의 보물을 실은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사실이라면 그먼지는 대체 어디서 생겨난 거죠?” 유성이 떨어지다 말고
폭발
하면‘
폭발
유성’, 매년 같은 시기에 같은 곳에서 많은 유성이 나타나면‘유성우’, 암석조각이 대기 중에서 다 타지 못하고 땅에 떨어진 걸‘운석’이라고 한다. 혜성은 태양에 다가올 때마다 새로운 코마와 꼬리를 ... ...
돌보기를 황금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잘 닦이게 하는 석영이나 석회암 가루가 들어 있어.부석 발뒤꿈치를 닦는 부석은 화산
폭발
때 생긴 수많은 구멍 때문에 물에 뜨지.돌계단 사람들이 늘 밟고 오르내리는 돌계단은 단단 한 화강암으로 만들어. 우리 동네는 돌 천국방학이라고 방 안에만 있지 말고 동네 한 바퀴 돌면서 암석을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수소를 이용해야 해. 뜨거운 수소는 보통 수소보다 더 가볍거든. 산소가 없어서 수소가
폭발
할 위험은 없지만 번개를 조심해. 목성의 번개는 지구의 번개보다 1000배나 강력하거든.수천 킬로미터나 뻗은 구름바다자, 이제 주변을 한번 둘러보렴. 연한 갈색과 분홍색의 구름바다를 볼 수 있을 거야. ... ...
고그린맨의 모험 - 제1화 초록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질투에 찬 눈으로 지켜보고 있거든요. 공해박사는 원래 착한 과학자였는데, 화학
폭발
로 뇌가 바뀌어 버렸어요. 안녕? 난 조나단 리라고 해. 아빠는 한국인, 엄마는 미국인이라 지금은 머나 먼 미국에 살고 있어. 한국 나이로는 10살이구. 이번 호 부터‘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에게 지구가 얼마나 ... ...
화산과 바다가 빚은 보물섬, 제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호수는 용암동굴 내에 있는 호수로는 세계 최대의 크기다. 용암동굴의 탄생➊ 화산이
폭발
하면서 용암이 지표면을 따라 흐른다.➋ 용암은 치즈크러스트 피자 같아 겉은 빵 껍질처럼 딱딱하게 굳었지만 속은 말랑말랑한 치즈처럼 식지 않은 상태다. 용암은 얇게 굳은 용암 껍데기를 뚫고 쑤욱 빠져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