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행실
활동
소행
실행
처신
태도
뉴스
"
행위
"(으)로 총 1,29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치료·3D프린트·암新藥… 대학병원, 미래를 연다
동아일보
l
2014.12.17
바로 로봇이다. 단순히 사람의 수술을 대신하는 것을 뛰어넘어 다양한 분야의 의료
행위
를 정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수술 중 자기공명영상(I-MRI) 장치가 대표적이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 도입한 I-MRI는 뇌 수술 중 뇌병변이 정확하게 절제됐는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장비다. 이전까지는 ... ...
개코원숭이 수컷이 새끼를 죽이는 까닭은?
2014.11.16
새끼를 죽이는 까닭은 다른 수컷이 아닌 자신의 후손을 보다 많이 남기기 위함인데, 이
행위
가 막무가내가 아닌 정교하게 계산된 전략적 행동이라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디터 루카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교수팀은 포유류 수컷이 자신의 후손을 늘릴 가능성이 높아질 때에만 한정해서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생식기뿐 아니라 암수 초파리의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이상한 점이 있었다. SPR이 성
행위
뿐 아니라 다른 신경계 항상성에도 관여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 수용체가 SP단백질뿐 아니라 ‘MIP 단백질’과 결합해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SPR이나 MIP이 없는 초파리는 암수를 ... ...
과학자들 “설탕 첨가된 청량음료 자주 섭취땐 DNA 노화 촉진”
동아일보
l
2014.10.21
이번 연구를 주도한 UCSF의 엘리사 에펠 교수는 "설탕을 넣은 탄산음료를 수시로 마시는
행위
는 질병 유발에 영향을 준다. 체내의 당 관련 대사 조절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세포조직의 노화를 가속화 해 각종 질병 발병에 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과 심장병 전력이 없는 ... ...
영화 ‘제보자’로 본 ‘줄기세포 3대 스캔들’ 제보자 집중 분석
2014.09.19
연구경력이 짧을수록 제보 방법을 ‘모른다’는 비율이 높았다. 이 교수는 “연구부정
행위
처리 절차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관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신진 연구자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잠을 깨우는 알람소리가 바로 파동이다. 아침에 눈을 떠 ‘앞을 보는’ 극히 평범한
행위
는 양자역학에서 ‘측정’이라는 아주 복잡하고 오묘한 현상과 관계가 있다. 책은 아침에서 시작해 취침에 이르기까지 집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소재로 양자역학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과학을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않는 게 안전하다고 권고했다. 그 결과 사회에서 임신부가 술을 마시는 건 거의 범법
행위
처럼 여겨지게 됐다고.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저자들은 이런 관행이 정책입안자들이 적당한 음주조차 위험하다고 과장한 결과라며 2012년 덴마크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즉 대규모 사례조사 결과 임신 ... ...
‘침팬지 언어’ 번역됐다…성적 관심을 끌고싶을 땐 어떻게?
동아일보
l
2014.07.09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미 침팬지가 기분이 좋지 않은 새끼에게 발을 내미는
행위
는 다른 뜻이 아닌 "내 등에 올라 타"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몸의 특정 부분을 상대방에게 보여줄 때는 그 부분의 털을 다듬어달라는 뜻으로, 상대방을 손등으로 가볍게 밀 때는 "저리 비켜"라는 ... ...
[이주의 과학신간] 센세이션 外
과학동아
l
2014.06.15
저자들은 스스로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컴퓨터 시스템을 가리켜 ‘인공적 도덕
행위
자(Artificial Moral Agent·AMA)’라고 부르며 AMA라는 개념 하에서 로봇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TSCP 제공 ◆곽 팀장이 말하는 전시기획 (곽수진 著, TSCP 刊) 척박한 국내 과학 ... ...
자각몽으로 악몽 퇴치?
과학동아
l
2014.05.12
통해 미세전류를 뇌의 전두측두피질로 흘려보냈다. 전두측두피질은 인지, 자각 등의
행위
와 관련된 부위로 보통 렘수면 상태에서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 부분에 인위적으로 전류를 흘려 자극을 준 것이다. 그 결과 전류 강도가 40헤르츠(Hz) 정도일 때 실험 참가자의 70% 이상이 꿈에 대해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