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형태가 이런 방식에는 훨씬 효과적인 셈. 윗부리는 휘는 방향이 바뀌었지만 당연히 콧
구멍
은 여전히 남아있다.우리나라에도 부리가 위로 휘어진 새가 있다. 뒷부리도요나 뒷부리장다리물떼새가 그 주인공. 이 녀석들은 부리가 얇고 길어 뒷부리숲새처럼 ‘사진조작’ 같은 느낌이 들 정도는 ... ...
스톤헨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형광체 바로 앞에 형광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둥근
구멍
또는 각형(角形)
구멍
이 뚫린 금속판 전극 두께는 015mm 안팎이다W 서덜랜드(1893)가 기체분자를 그 들끼리 약한 인력을 서로 미치고 있는 강체와 같은 구로 가정하여 유도한 것으로서 간단하면서도 비교적 실제와 잘 맞는다 물체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호이스트(hoist)!”돛을 바꾸라는 길모어 스키퍼의 외침에 커다란 제내커가 요트 앞
구멍
에서 튀어나와 순식간에 바람을 받아 펄럭였다. 요트 가장 앞에 다는 제내커는 바람의 힘을 그대로 받아 추진력으로 바꾼다. 궂은일을 도맡는 바우맨은 요트 앞에 쪼그려 앉아 걷혀진 지브세일을 바닷물에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씨앗을 갈아 마시면 악어의 공격도 피할 수 있다는 비법도 전해진다. 나무에
구멍
을 뚫고 사람이 살거나 시체를 매장하기도 한다. 영화 ‘라이언킹’에서도 주인공 심바(스와힐리어로 ‘사자’라는 뜻)를 도와주는 주술사 라피키(스와힐리어로 ‘친구’라는 뜻)도 바오밥나무에 집을 짓고 살았다.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텐트 안이 가득 찼어요.“콜록, 콜록! 안 되겠어. 연기가 잘 빠져나가도록 텐트 꼭대기에
구멍
을 내자!”고산 씨의 제안에 따라 우주인들은 텐트를 고쳐 짓기 시작했어요. 날이 저물 때가 돼서야 텐트가 완성됐어요. 완성된 텐트 안에 직접 들어가 보니 모닥불 연기도 잘 빠졌고 제법 훈훈했어요. 하루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원반에 그리고, 그 위에 타원형의
구멍
뚫린 다른 원반을 겹쳐 놓은 것인데, 타원형의
구멍
은 어느 시각의 가시천구의 규모로 조절되어 있으므로 주변의 숫자에 맞추어 밑의 원반을 회전시키면 임의의 계절, 임의의 시각에 나타나는 천구의 별자리 배치를 알 수 있다fcc→bcc(bct) 마텐자이트 변태의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한복판에서 채굴된 석유가 중국 대륙까지 하나의 관을 타고 오는데, 중간에 도굴꾼이
구멍
을 내면 석유가 흘러나와 주변의 땅을 오염시키는 것과 같은 이치다.뇌혈관장벽이 무너진 혈관은 정상 세포를 잠식한다. 만약 뇌세포의 어느 한 부분에 암이 생기면, 혈관의‘성문’이 무너져 가지를 친다. ... ...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충격을 줄이기 위해 오일 완충제와 스프링을 함께 장착한다. 오일이 프론트 포크의
구멍
을 드나들며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2월에 출시된 모델 ‘크로스본’은 스프링만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강 과장은 “역학적인 움직임만으로 진동을 제어하므로 다른 브랜드의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볼록거울을 사용하여 광선을 다시 한번 반사경쪽으로 되돌려보내 반사경 중앙에 뚫린
구멍
으로 초점면을 유도하는 카세그레인식, 볼록거울과 평면거울을 이용하여 광선을 적위축 내로 유도하는 쿠데식 등이 있다반사주경은 양질의 유리가 사용되고 알루미늄 증착을 한다주로 죽은 동물이나 ... ...
산불로 생긴 숯, 온실가스의 숨은 주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탄소가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사이언스’ 5월 2일자에 발표했다.바들레 박사는 “
구멍
이 많은 숯 표면이 부식토의 유기화합물을 흡착해 미생물이 자라는 데 유리한 터전이 된 것”이라며 “그 결과 부식토가 빨리 분해돼 탄소가 많이 유출됐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