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뭇잎 속에 숨겨진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가장 중요한 물질인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 전체를 호흡이라고 한다. 호흡은
단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열은 우리의 체온을 유지하고, 체내의 물질을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우리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며, 그리고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등에 필요한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그러나 서서히 흩어지는 빛을 바라보던 사람들은 경악했다. 혜성은 건재했던 것이다!
단지
표면에 분화구만 몇개 생겨났을 뿐 혜성은 아무 이상 없이 지구를 향해 날아오고 있었다.하지만 절망하기는 일렀다. 아직 18기의 우주선이 남아있었다. 담당자들은 폭파 지점을 혜성의 한쪽 끝에 집중시켰다.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흡혈귀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선택도 이 안에서 이루어졌다.진화론적 입장에 있는 생물학자들은 재생산의 목적은
단지
종의 번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접을 통해 유전물질을 건강하게 혼합하는데 있다고 해석한다. 이는 원시사회에서부터 근친상간이 금기가 된 생물학적 이유의 하나다. 종 다양성이 중요한 것은 ... ...
① 병을 스스로 이겨내는 능력을 키운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식물의 정유에서 독특한 향내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일반인들로서는
단지
약물을 피부에 바르는 것만으로 장기 치료가 된다는 점을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더욱이 냄새를 맡는 것만으로, 또는 혀 밑에 약물을 몇방울 떨어뜨리는 것만으로 치료가 된다면 어떨까.하지만 우리에게 ... ...
소금이 들어간 음식이 맛있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등 4개 물질의 혼합용액을 피실험자들에게 제공한 뒤 이들 용액이 얼마만큼 짠지,
단지
, 혹은 쓴지를 물었다.결과는 연구진이 예견했던 대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요소와 설탕을 섞은 물보다 요소와 소금을 섞은 물에서 쓴 맛이 덜하다고 대답한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나트륨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사진기술이 탄생한 뒤 유령이나 영혼을 찍었다는 주장이 적지 않았음은, 이같은 우려가
단지
공상 차원에 머물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세계 회의론자 회의에서 학자들이 크리스 카터를 공격했던 것처럼 텔레비전에 진짜 과학을 요구하는 것은 과연 ‘셰익스피어에게서 역사를 요구’하는 것처럼 ... ...
물건을 만지기만 해도 DNA가 묻어난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혼선이 빚어지지 않을까.이 문제에 대해 현재로서는 뚜렷한 대안이 있어보이지 않는다.
단지
연구자들은 악수를 통해 옮겨지는 DNA의 양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무고한 사람이 범인으로 몰릴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적다고 얘기한다 ... ...
3. 통일장 이론의 스타들: 초끈이론 개발한 존 슈바르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1975년에 확장된 칼루자-클라인이론은 차원을 한정하지 않았고, 물질에 대한 배려가 없는
단지
수학적 이론일 뿐이었다. 끈이론은 칼루자-클라인이론과 달리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수학을 도입해 통일장이론을 설명한다.끈이론은 왜 포기됐는가?26차원의 끈이론에서는 힘을 운반하는 보존을 많이 ... ...
애니메이션의 종류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다양한 표현을 갖게 됐다. 종이 애니메이션 Paper Animation기법은 셀 애니메이션과 같으나
단지
셀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컷의 내용을 종이에 그려 그것을 그대로 촬영한다는 것 뿐이다. 종이 한 장에 배경과 캐릭터가 그려지고 캐릭터의 움직임에 따라 또 다른 종이에 그 배경과 조금 변화된 캐릭터를 ... ...
3. 한국 경제의 돌파구 벤처기업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선포한 'KAIST TOP 10'사업의 원년이다. "이제 교육의 질을 생각할 때가 왔다.
단지
논문 수만으로 연구의 수준을 평가하는 때는 지났다. 논문 수만 보면 KAIST는 분명 세계 10위권에 든다. 그러나 논문의 질을 보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장호남 학장은 KAIST 교육과 연구의 근본적인 개혁이 있을 것임을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