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색채
빛깔
색
색상
빛
칼라
색조
d라이브러리
"
색깔
"(으)로 총 1,90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가짜 그림을 만들었다.작가가 밑그림으로 그려놓은 초본(드로잉 원화)를 구해 그 위에
색깔
을 입히는 수법도 사용한다.스승의 작품으로 둔갑하는 습작들국내에 가짜 회화 작품을 제조하는 전문가는 40-50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들 중 상당수는 국전과 미술대전 등에서 입선한 경력이 있을 만큼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프리즘을 통과하면 ‘빨주노초파남보’의 순서로 된 무지개
색깔
로 나눠진다. 이때 각
색깔
은 파장이 서로 다른 빛을 나타내는데, 우리 눈에 보이는 가장 긴 파장의 빛이 빨간빛이다. 인체가 방사하는 빛, 적외선프리즘을 통과한 빛을 보면 빨간빛 이상으로는 아무 것도 없는 것처럼 보이는데, 1800년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아구티’라는 유전자를 갖도록 특별히 설계된 모델쥐였다. 아구티 유전자는 쥐의 털
색깔
을 노란색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즉 저틀 교수는 이런 모델쥐를 사용함으로써 변화를 지켜볼 수 있는 요소를 아구티 유전자 하나로 제한한 것이다.실험에서 아구티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한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대물림된다면 세대가 거듭되면서 어떤 일이 벌어지겠느냐는 것입니다.틀림없이 어두운
색깔
의 후추나방이 천적에게 쉽게 발견되는 밝은 색의 후추나방보다는 더 많이 살아남을 것입니다. 즉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는 개체군 내 형질들의 분포가 처음에 비해 크게 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어떤 ... ...
중학생 30개팀 토론축제 한마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다양한
색깔
을 갖고 있는 이유는 뭘까. 구름은 어떻게 일정한 높이에 떠있을까. 딱 부러지는 해답이 나올 것 같지 않은 문제들을 놓고 과학영재들이 마치 과학자의 학술발표회를 연상케 하는 열띤 논쟁을 벌였다. 바로 지난 8월 11일부터 15일까지 부산 장영실과학고에서 열린 제1회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30%가 파괴됐고, 이 수치는 2030년까지 60%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산호의
색깔
을 나타내는 미세한 유기체가 기온이 높아지면서 사라진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종류마다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멸종되지는 않고 많은 변화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한다.헤그헤스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만드는 도료다. 이런 도료에서는 온도 대신 빛의 양에 따라 들뜬상태가 달라져 다른
색깔
을 내보내는 금속이온을 사용한다.화재 확산을 막는 기능까지첨단도료에는 특수한 화학물질을 첨가해 만든 종류뿐 아니라 고분자 자체에 특수한 기능을 부여하는 도료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올해 초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기술임에 틀림없다. 1초에 ${10}^{6}$번 깜빡거리는 소자 개발디스플레이에서 다양한
색깔
을 동영상으로 생동감하게 나타나려면 빛을 내는 발광 부분(화소)를 전기적으로 끄고 켤 수 있어야 하고 또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스위칭 역할을 해주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보인다. 뿐만 아니라 홍채는 개인차를 가장 잘 드러내는 신체 부위 중 하나다. 홍채의
색깔
은 물론 홍채 내부의 정교한 신경과 혈관조직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홍채가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은 10억분의 1 정도다. 같은 사람에서도 왼쪽과 오른쪽 눈의 홍채가 다르고, 심지어는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설명했다. 많은 새들의 경우 번식기 때의 깃털
색깔
을 여름깃, 번식기가 아닌 때의 깃털
색깔
을 겨울깃으로 구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 보호종인 검은머리갈매기를 송도와 영종도에서 볼 수 있다.탐사팀의 오후 일정은 인천 옹진군 영흥도 일대 탐사. 검은댕기해오라기를 이곳에서 처음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