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한 앤드루 와일스,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노벨상으로 불리는 ‘아벨상’의 올해 수상자는 누구일까요? 노르웨이학술원은 17세기 수학자 페르마가 남긴 마지막 정리를 해결한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를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학술원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만큼 수학적 역사가 풍부하고 극적인 증명이 없다’며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풀기가 굉장히 까다롭다. 그 해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판단하기 쉽지 않다. 그런데 20세기에 수학이 놀랍도록 발전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이 만들어졌다. 컴퓨터의 성능도 획기적으로 좋아져 복잡하거나 계산의 양이 매우 많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측정 장치의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성이론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비로소 시간의 실체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0세기는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꽃을 피운 시대였고, 물리학자들은 위대한 두 이론을 당연히 통합하려고 했다. 예를 들어, 우주 전체를 파동과 같이 양자역학에서 주로 다루는 성질로 설명하는 식이다. 잘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난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하루 전에 막 끝난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의 대국’에 크게 고무된 듯 했다. “패러다임의 전환도 일어날 겁니다. 문화 충격, 교육의 변화, 산업계의 변신 등 흩어져 있던 이야기들이 한 줄기로 모일겁니다. 앞으로 어디로 그 흐름이 이어질지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방향, 특정 위상으로 움직이는 빛만을 걸러내 증폭시키는 장치입니다. 일반적인 빛보다 세기가 강하고 모두 동일한 위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위상을 흐트러뜨리는 무언가가 있으면 바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라이고에서는 중력파에 의한 시공간의 변화가 되겠고 저희 실험실 기기에서는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 척주 : 우리 몸통의 세로축을 이루는 척추뼈와 연골 기둥.] 파리는 고기를 좋아해~13세기 중국 변호사인 ‘성 쭈’가 쓴 책에는 처음으로 법곤충학을 이용해 사건을 해결한 사례가 기록돼 있어요. 한 사람이 낫에 베여 죽었다는 사실 외엔 아무런 단서가 없는 살인사건이었죠. 이때 이 마을의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없애 버리자!’” 삽입곡 ‘이페르의 전설’ 중 ‘페스트’라고도 부르는 흑사병은 14세기에 유행했는데, 유럽 인구의 약 3분의 1이 이 병으로 사망했을 정도로 강력했습니다. 페스트균에 감염되고 열흘 정도 지나면 증상이 나타나는데, 환자의 피부가 검게 변했기 때문에 흑사병이라고 불렸습니다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혀 없는 붙박이, 코쇠의 18세대였다. 손과 피부가 돌가루 바람에 거칠어지고 머리가 세기 시작했다. 그는 먼지와 진동과 소리를 끌어안고 교실의 책상과 의자를 닦고, 여전히 때때로 고장난 기계나 이해하기 어려운 본사의 지시에 관해 ‘선생님’의 조언을 구하는 이들을 맞이하고, 해가 저물면 ... ...
- [Editor’s note] 인공지능 수학자는 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알파고, 세기의 바둑 대결로 온 나라가 시끌벅적했습니다. 바둑의 ‘바’ 자도 모르는 저도 몇 시간 동안이나 중계를 보는데 하나도 지루하지 않더라고요. 반상 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건지 알 수는 없어도, 해설진의 한 마디 한 마디에 가슴이 두근거렸습니다. 이 대결 덕분에 바둑에 대한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퍼져나가는 걸까? 꽃가루가 퍼지는 모양 속에 수학적인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닐까?17세기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꽃가루가 살아 있는 생물이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827년 영국의 식물물리학자 로버트 브라운은 물에 뜬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새로운 사실을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