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하다. 그는 근대 대수학처럼 미지수를 나타내기 위해 문자를 써서 1·2차부정방정
식
을 풀었다. 384변의 정다각형까지 조사해 π=3.141666이라는 정확한 근삿값을 얻기도 했다. 행성의 위치에 대한 천문관측과 지리학 연구에 쓰이는 수학적 기법과 천문장비 등에 대해 연구했다.중국의 주판이나 인도의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확실히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컴퓨터로 계산한 우주는 우리가 우주를 관측하는 방
식
을 모델로 구현한 것이다. 컴퓨터로 재구성하는 우주도 인간의 한계를 넘을 수 없다.이런 한계는 컴퓨터의 한계라기보다 인간의 한계다. 사실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필자는 튜링이 사회적인 소외 속에서 꿈꿨던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맞춰 여러 방법으로 생각을 읽어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뇌에 전극을 이
식
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은 전신마비 환자 같은 중증환자들을 돕기 위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미국에는 200만 명, 국내에는 10만 명의 신체마비 환자가 있다. 신체마비 환자들이 보호자 도움 없이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 ... 전자빔의 출력을 2배 높여 암흑광자 사냥을 계속할 예정이다. 암흑광자를 발견했다는 소
식
을 독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날을 기다려 본다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강연회. 고약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청중이 가득 들어찼다.]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식
컴퓨터로, 이후 상업용 컴퓨터인 마크I로 발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지능 오딧세이Part 1. 튜링을 만나다Part 2. 생각하는 로봇Part 3. 튜링의 마지막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캐물었지만 소득이 없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도 돌아오기로 한 수학자에게서 아무런 소
식
이 없었다. K는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수학자에게 아직도 연락이 없나요?뭐 올 때 되면 오겠지…. 잠깐! 왜 목격자와 수학자가 서명한 서체가 똑같죠? 그러고 보니 이니셜도 비슷하잖아? 뭔가 이상해요. ... ...
[정보] 부등
식
,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개념을 다시 살펴보는 거예요. 그러면 전에 배웠던 내용이 새록새록 기억나면서 부등
식
에 대한 이해가 쉬어진답니다. 이렇게 모르던 내용을 알게 되면, 자연스레 수학에 대한 흥미도 생겨나겠죠?어려운 수학 문제를 만나 쓴맛을 경험하고, 오랜 시간을 투자했지만 당장 답이 보이지 않는다고요?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설명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제외하면, 우주는 곧 수학과 동일해진다. 즉 수나 방정
식
, 함수가 존재하면 대응하는 물리적 실체를 찾을 수 있다(실제로 입자물리학의 많은 입자를 이런 순서로 찾았으니 황당한 생각은 아니다). 따라서 컴퓨터로 다양한 수학적 우주를 만들어 물리적 다중우주를 만들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천문학 분야의 시각화 작품이 ‘스타워즈’처럼 흥미롭지만 과학의 정확성도 유지하는
식
으로 균형을 잡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2008년 그는 우리은하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지 정확히 그려내기 위해 노력한 적이 있다. 당시 관련 워크숍에서 우리은하 구조에 관한 특별 세션을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관찰하다가 특이한 생명 현상을 발견하면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정확하게 확인하는
식
이다. 문제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두껍게 만들면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