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람이 또 있을까? 결론은 ‘아니다’에 가깝다. 지문이 서로 같을 확률은 약 600억 분의 1
이하
라고 한다. 지구의 인구가 약 68억명 정도이니 나와 지문이 같은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고 볼 수 있다.그렇다면 일란성 쌍둥이조차 지문이 서로 다를까?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하나의 수정란이 2세포기 때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이하
휴보센터) 연구원이 노트북을 한 손에 받쳐 들고 키보드를 두드렸다. 무선 랜으로 명령을 받은 로봇 한 대가 무릎을 구부리며 ‘준비 땅’ 자세를 취했다.“철컥 철컥 철컥~.”로봇은 곧 제자리 뛰기를 시작했다. 한 걸음씩 뗄 때마다 금속관절을 움직이며 기계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르면 축구공의 지름이 가장 크게 측정된 값과 가장 작게 측정된 값의 차이는 1.5%
이하
여야 한다. 아디다스는 “자블라니는 최대와 최소 지름의 차가 1.0%로 역대 공인구 중 구형에 가장 가깝다”고 설명했다.자블라니는 패널 수가 8개로 훨씬 적고 패널 모양도 평면이 아니라 곡면이다(입체 패널). ... ...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가져온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사람들을 의자에 앉히고 10Hz
이하
의 낮은 진동을 걸어주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 호르몬이 조금씩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사람은 서양인보다 체형이 작아 같은 진동에도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국가원수가 직접 상을 준다. 노벨상과 달리 수학자의 장래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만 40세
이하
의 수학자에게만 준다. 현재까지 총 48명의 수상자가 나왔으며, 공동수상도 가능하다. 테렌스 타오 교수는 2006년 두 명의 다른 수학자와 함께 필즈상을 받았다.필즈상을 안겨 준 그린-타오 정리수학의 여러 ... ...
편안한 눈, 즐거운 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비슷한 95~110데시벨이나 된다. 잘 안 들릴 뿐이지 굉장히 큰 소리를 내는 셈이다. 200Hz
이하
의저주파음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을 내게 만든다. 저주파음을 들은 쥐가 힘을 잃고 축 늘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저주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공해에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하지만 팔을 X자로 한 다음, 다시 해보면 결과는 다르다. 일본 연구팀에 따르면 0.3초
이하
의 짧은 시간 차를 둘 경우 한참 동안 우리 뇌는 어느 쪽이 먼저인지 알아맞히지 못한다. 손을 맞는 순간 뇌는 팔을 X자로 한 상태라고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이 일본 연구팀은 2005년에 더욱 재미있는 현상을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비롯되기 때문이다. 서울대 혁신설계 및 통합생산(Innovative Design and Integrated Manufacturing,
이하
IDIM) 연구실은 창의성이라는 이상적인 개념을 공학이라는 도구를 통해 현실세계로 가져온 매우 실용적인 연구실이다.연구실 입구에 들어가자 바퀴가 세 개인 자전거가 한 대 있다. 얼핏 보면 일반적인 삼륜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한진중공업과 함께 ‘축산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Slurry Composting & Biofiltration with Methane,
이하
SCB-M시설)’을 공동 개발해 지난 9월 23일부터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SCB-M시설은 한우, 젖소, 닭 등이 배설한 분뇨 10t에서 300kW의 전기를 생산한다. 이는 30~40가구가 하루 동안 사 ...
초콜릿 먹으면 스트레스 풀린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꾸준히 줄었으며 2주가 지나자 초콜릿을 먹기 전보다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는 절반
이하
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코르티솔은 콩팥의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몸이 외부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분비된다. 즉 당을 분해해 혈당량을 높이며 혈압을 높이고 근육을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