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별로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들이 하는 학문으로 여겨진다. 내가 조금 쉬려고 그
인식
을 이용한 것이다.이런 일도 있었다. 박사학위를 마친 뒤 내 첫 직장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연구소였다. 다급히 집을 알아보기 위해 부동산 중개인과 여러 군데 방문하는 중에 중개인이 내가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열쇠-자물쇠 시스템을 개발했다. DNA앱타머란 마치 항체처럼 단백질 같은 표적분자를
인식
해 달라붙은 특정한 염기서열의 DNA 가닥이다. 표적분자가 없을 때는 앞의 육면체 나노박스처럼 뚜껑의 DNA단일가닥(앱타머)과 본체의 DNA단일가닥이 이중나선으로 결합해 잠겨있다. 뚜껑을 열려면 앱타머의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영국에서 발행되는 저명한 주간과학저널인 ‘네이처’는 1869년 11월 4일 첫 호가 나왔다. 네이처가 출간될 당시 비슷한 과학저널이 여럿 나와 있었는데 ... 오랫동안 버려졌던 그의 무덤에는 아래 문구가 새겨진 새 묘비가 세워졌다.‘지문
인식
학의 선구자로서 헨리 폴즈의 업적을 기리며 ... ...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있다. 이 중 아름답게 들리는 건 어떤 음일까?우리 귀에 들리는 소리들은 한 가지 소리로
인식
되기 쉽다. 하지만 한가지 소리로 들리는 음이라고 해도 사실 다양한 진동수를 가진 음들이 섞여 있다. 가장 작은 진동수의 음을 ‘기본음’, 기본음과 정수배를 이루는 진동수의 음을 ‘배음’이라고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공 뇌도 산수에는 젬병일 것이다. 빠른 계산이 필요한 분야에는 컴퓨터가, 패턴
인식
처럼 사람이 잘하는 분야에서는 인공 뇌가 활약하는 식으로 서로 보완할 가능성이 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클레망 아데르가 1897년 만든 ‘아비옹’은 박쥐 모양의 날개로 날갯짓을 하는 구조였죠. 아비옹에는 20마력 증기기관을 두 개 사용했습니다. 산업혁 ... 포착되지 않는 은폐 기능을 의미합니다. 레이더는 B-2 스텔스 폭격기를 고작 참새 크기로
인식
합니다. 날개 길이가 52.4m나 되는데 말이죠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범행현장 장면을 보여주면 범인의 뇌는 이 장면을 익숙한 자극(다른 종류의 자극)으로
인식
해 P300 뇌파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범인이 아닌 용의자의 뇌는 이 장면을 낯선 자극(비슷한 자극)으로 받아들여 P300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실제로 이 기술은 미국 CIA 같은 정보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뇌의 ... ...
[3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일반 독자들도 이 기사를 봤다면 과학 선진국이 되려면 사람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는
인식
을 자연스럽게 가질 것이다.분명 아쉬움도 있다. 인터뷰이가 소개한 에피소드에는 엔진 실험을 하다 사망한 희생자가 소개됐다. 드라마틱한 경험을 어떻게 극복했고 그 결과 어떤 과학기술을 확보하게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문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잘하는 패턴
인식
은 입력 신호가 너무 복잡해서 어려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로 표현이 안 돼 컴퓨터로 처리하기 어렵다.뇌는 오랜 세월에 걸쳐 어려운 문제에 맞게 진화한 하드웨어다. 따라서 우리는 쉽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역사가 100년이 넘었지만 이렇다 할 발전이 없었던 건 세포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계라는
인식
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서 교수는 자신처럼 전혀 다른 배경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기존 생물학자들과 힘을 합칠 때 연구의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세포가 들어 있는 랩온어칩이 몸속을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