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장의 기후위기] 페이스트리처럼 변한 기둥, 흰개미가 파고든 목조 문화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측정기, 함수율 측정기 등을 들고 서당 구석구석을 조사하며 20여 개의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점검했다. ‘두드렸을 때 텅 빈 소리가 나는가?’ YES ‘목부재에서 창살 모양의 긴 구멍이 보이는가?’ YES ‘건물에서 흙길이 발견되는가’ YES . 서광호 경북북부문화재돌봄센터 전문모니터링팀장은 ... ...
- [CES 2022 현장 리포트] “미래는 공존을 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자리잡은 경주 트랙에서 자율주행 인공지능(AI)의 운전 속도를 겨루는 대회도 볼거리 중 하나였다.CES 2022는 3일간의 짧은 일정으로 마무리됐지만, 이 자리에 전시된 기술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비출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게리 샤피로 CTA 대표는 “CES 2022에서는 우리 사회를 재편하고 근본적인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인류는 흔적만 남긴 채 사라졌다. 소행성 탐사를 했다면, 인류는 멸망하지 않았을까또 하나의 부질없는 가정이지만, 만약 2150년까지 인류가 소행성 탐사를 지속했다면 다이너소어에 맥없이 당하진 않았을 것이다. 탐사가 한창이던 21세기 초에,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위협하는 근지구천체(NEO‧Near ... ...
- [METAVERSE] 세계가 움직인다? 대격변의 메타버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기술을 중요하다고 생각해.메타버스 안에서 즐길 콘텐츠도 소프트웨어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야. 불편하게 하드웨어를 장만하지 않아도 누구나 가진 컴퓨터, 스마트폰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메타버스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 거지. ● 하드웨어지난해 말 소셜미디어(SNS) 업계에서 가장 ... ...
- [SF소설] 마지막 인사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해요. 뭐 어때.”“주원이니?”당신이 휠체어에서 벌떡 일어난다. 당신 눈앞에 아이 하나가 서 있다. 주원이의 얼굴이다. 모니터 속에 들어 있지 않고 온전한 몸을 지닌 채 서 있다. 주원이가 웃는다. 그렇다면 이건. 아니다. 당신은 따지고 싶지 않다. 당신의 눈에 주원이가 보인다는 사실에 만족한다. ... ...
- [특집] 우주로 향하는 거대 거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우주로 보내기가 쉽지 않지요. 그래서 생각해 낸 방법은 거울 여러 개를 이어 붙여 하나의 큰 거울처럼 만드는 거예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주 거울은 지름 1.3m의 정육각형 거울 18개를 벌집 모양으로 이어 붙여 전체 지름이 6.5m가 되도록 만들었어요. 한정열 한국천문연구원 ... ...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학문적 발견을 할 수 있는지도 연구하고 있어. 2016년에는 과학 분야에서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인 단백질 구조 예측에 성공했고, 2020년에는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의 핵심 평가 대회에 나가 정확도 90%를 달성하고 우승을 거머쥐었지. 그랬던 딥마인드가 이번에는 ‘수학’ 하는 AI 개발에 나선 거야 ... ...
- 빙판 위의 기적 그들의 썰매를 책임집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다.장애 인구 자체가 줄어든 것도 선수 부족의 원인 중 하나다. 소아마비 등의 장애는 어릴 때 치료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부터는 한국체육대와 함께 비장애인 선수로만 구성된 파라아이스하키팀을 창단했다. 최 장비매니저는 “파라아이스하키가 꼭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시간을 끌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재개발이 시작됐다. 예지동 시계골목의 상공인들은 하나둘 골목을 떠났고, 지난해 12월 마지막 남은 점포들까지 문을 닫으며 골목은 텅 비었다. 지난해 12월 2일 다시 찾은 예지동 시계 골목은 골목 입구부터 바리케이트로 막혀 있어 진입할 수조차 없었다. 같은 달 ... ...
- [융복합@파트너]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연구실엔 기사 스크랩이 가득했다.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고자 관심 있는 연구를 하나 둘 모으다 보니 많아졌다고 했다. 실제로 그의 연구실에서는 고분자화합물을 다루는 순수 화학 연구부터 실생활에 유용한 약물 전달체와 인공 광합성까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제는 모두 다르지만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