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깊이"(으)로 총 1,3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2015.03.16
- 보다 쉽게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암세포의 약 80% 정도는 사람 피부나 장기 외피의 1~3mm 깊이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존 광학현미경으로는 조직 아래 수십 μm(마이크로미터)의 영상밖에 얻을 수 없어 세포 깊은 곳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생체 조직의 박편을 잘라내 관찰해야 했다. 이번에 ... ...
- 토성 위성에서 온천 발견, 대서양 심해서 발견된 ‘잃어버린 도시’와 비슷?동아닷컴 l2015.03.13
- 남극에 있는 바다는 얼음 표면으로부터 30∼40km 내려간 곳에 있으며, 바다의 깊이는 약 10km다. 이를 토대로 과학자들은 엔켈라두스에서 분출되는 얼음 입자들이 토성 주변에 ‘E 고리’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혔다. 카시니 우주탐사에서는 또 E 고리에 지구상 모래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SiO₂) ...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2015.03.13
- 결과 비의 바다는 적어도 9개의 서로 다른 층으로 이뤄졌음이 드러났다. 지표에서 8m 깊이까지는 약 8000만 년 전에 형성됐으며, 지하 140m까지 구간은 약 25억 년 전에 생성됐다. 또 25억~33억 년에는 마그마가 4차례나 관통했던 흔적이 발견됐다. 지하 240m 아래 지질은 33억 년 이전에 생겨났다. 물이나 ...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03.04
- 법칙으로 이끌어 줄 것이고 그로부터 우리는 물질의 본질에 대해, 우리 우주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강영 경상대 물리교육과 교수.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을 공부해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과정 중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에서 LEP ...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해외 방폐장은 어떻게 운영되나2015.02.25
- 포스마크는 해저 50m 암반에 터널을 뚫은 해저동굴 형태이며, 올킬루오토는 지하 60~90m 깊이에 처분장을 설치했다. 천층처분은 땅을 얕게 판 뒤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어 폐기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채택하고 있다. 프랑스는 1969년부터 운영하던 라망쉬 방폐장이 ... ...
- 일본 규모 6.9 지진, 원자력 발전소 이상 없나?동아닷컴 l2015.02.17
- 규모 6.9의 지진이 일어났다. 또 8시 17분에도 네무로 지방 남부(북위 43.2도, 동경 145.4도) 깊이 약 100km 지점에서 규모 3.4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인근 아오모리현과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등에서 진도 4의 진동이 감지됐으며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등에서 진도 3의 진동이 감지된 것으로 ...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과학동아 l2015.01.13
- 피부 침투 깊이는 채 몇 mm도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근적외선이 더 깊이 침투하지요. 깊이 침투해서 온도를 올려주는 것으로 따지자면 휴대전화가 이용하는 2.1GHz 전자기파가 더 좋을 겁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휴대전화를 온열 작용에 이용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 찜질은 찜질일 뿐 맹신은 ...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2015.01.09
- 땅굴 탐사에 가장 흔히 쓰인다. 시추공레이더탐사를 위해서는 땅에 깊이 30~300m, 지름 7~8cm 정도의 시추공을 20~30m 간격으로 뚫는다. 한쪽 시추공에 전파 발생 장치(송신기)를 집어넣고, 옆 시추공에 전파 감지기(수신기)를 넣는다.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가 받아 분석해 땅굴 존재 여부를 ... ...
- 멈추지 않는 에너자이저, 열정으로 새로운 꿈을 꾸다.동아사이언스 l2014.12.29
- 발전 기틀을 마련하는 방안도 기획했다. 이는 안주하는 삶에는 발전이 없음을 뼛속 깊이 알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스마트기술연구소 설립, 끝나지 않은 꿈 조정숙 대표 제공 공학교수인 그녀는 정년 이후 삶을 고민했다. ‘어떻게 하면 죽을 때까지 일할 수 있을까?’ 평생 일을 하면서 ... ...
- [신나는 공부]“학부모와 독서토론하고 학급 경계 뛰어넘어요”동아일보 l2014.12.23
- “또래와 토론을 하는 것과 달리 어른인 학부모와 함께 책을 읽고 토론하면 학생들이 더 깊이 생각하려 하고 토론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면서 “책을 매개로 학부모와 소통하면서 학부모는 사춘기 자녀를, 자녀는 학부모를 좀 더 이해하는 계기도 된다”고 말했다. 이매중 1학년들은 주 1회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