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사일
상례
뉴스
"
보통일
"(으)로 총 2,751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소부장 공세 대응 핵심 화학연 원장 5개월째 '공석'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지난 5월 김성수 전 한국화학연구원(화학연) 원장이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발탁된 이후 5개월째 후임 화학연 원장 선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본의 소재·부품 수출 규제로 단기간에 상용화가 가능한 소재부품 연구개발(R&D)이 중요한 상황에서 핵심 출연연구기관인 화학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덴마크와 스웨덴 사이 해협에 있는 벤(Ven) 섬. 위키피디아 제공 코페르니쿠스가 죽은 지 얼마지 않은 1546년 덴마크에서 위대한 천문학자가 태어났다. 그 이름은 티코 브라헤다. 브라헤는 광학기기의 도움 없이 맨눈으로 밤하늘을 관측한 최후 세대의 과학자였다. 브라헤는 맨눈으로 하늘을 관측하기 ... ...
청소년 10명중 2명 '소음성난청' 이어폰 과용 심각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최근에는 귀에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꼽고 생활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소음성난청 환자가 늘어났다. 특히 청소년 층에서 급증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소음성난청으로 진료받은 10대 청소년 환자는 2006년 306명에서 2010년 394명으로 30%가량 증가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귀가 ... ...
한미연구팀, 세포들이 넓은 공간에서 소통하는 방법 발견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KAIST는 김재경 수리과학과 교수와 매튜 베넷 미국 라이스대 교수, 크레시미르 조식 미국 휴스턴대 교수 연구팀이 합성생물학과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들이 넓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하는 방법을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KAIST 제공 세포들은 신호전달분자를 이용해 서로 소통한다. ... ...
“배신 당한 여자 친구의 분노 폭발“
팝뉴스
l
2019.10.14
팝뉴스 제공 아주 특이한 교통 사고 장면이 해외 네티즌들을 이목을 끌었다. 최근 미국의 한 사진 공유 사이트에 올라온 사진을 보면, 사고 경위를 추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승용차가 각도 45도 정도로 들어올려졌다. 뒤에서 다른 차가 들이 받은 결과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보통 속도로는 저 ... ...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
2019.10.12
Pixabay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이 깊은 유전자는 APOE E4 변이형이다. 한국인의 경우 APOE E4 변이형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1997년 조사에 의하면 대략 0.1 남짓이었다. 일본인도 거의 비슷하다. 아시아인은 일부 원주민을 제외하면 크게 다르지 않은 편이다. 유럽으로 가면 조금 다른데, 북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철학 없는 기초과학의 몰락
2019.10.1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부지를 방문객에게 설명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제공 “은하도시를 꿈꾸며. 꿈이 모여 세상을 바꿉니다. (생략) 이 꿈은 우리도 세계 최고의 연구 환경을 만들어 세계가 깜짝 놀랄 만한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꿈은 누구나 창의적인 생각이 샘솟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오대현(해도연) 국가기상위성센터 선임연구원·과학작가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셸 마요르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와 디디에 쿠엘로 교수는 태양계 바깥에서 태양과 닮은 별을 공전하는 행성을 최초로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1995년 이뤄진 이 발견으로 과학소설 속 상상의 존재로만 등장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이현욱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드디어 구디너프 교수님이 받으셨어요.” 동료 교수와 저녁 식사를 하면서 우리는 노벨화학상을 누가 받게 될지 주시하고 있었다. 9일 저녁 아마도 적지 않은 이들이 스웨덴에서 발표하는 노벨화학상의 결과를 주시하고 있었을 것이다. 과학자라면 모두 ... ...
로봇이 심리학의 실험쥐를 대체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엘란 바렌홀츠 미국 플로리다애틀랜틱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윌리엄 한 컴퓨터공학과 교수와 힘을 합쳐 조금 다른 방식의 심리학 실험 방식을 제시했다. 사진은 뇌를 모사한 인경신경망을 넣은 로봇의 모습이다. 미국 플로리다애틀린택대 제공 미로에 쥐를 놓아두고 그들을 관찰한다. 관찰을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