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54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해안 인근 규모 4.5 지진 발생…올해 첫 4.0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5.15
거쳐 4.5로 조정했다. 지진의 진앙은 37.99도, 동경 129.72도다. 기상청은 당초 진항의
위치
를 ‘동해시 북동쪽 59km 해역’에서 ‘동해시 북동쪽 52km’로 조정했다. 지진의 깊이는 31km로 추정된다.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규모 5.0 이상 지진 진원의 깊이는 평균 약 8km다. 흔들림이 어느 정도였는지 ... ...
원전시설 지진 감시망 더 '촘촘히'..."1초만에 감지 후 3초 내 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지진 발생 시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면 인명피해의 80%를 줄일 수 있다. 현재는 지진 발생
위치
로부터 40km 이상 떨어진 지역부터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지만 지진탐지 시간이 2초 단축되면 36km 이상 떨어진 지역부터 ‘근거리 대피’가 가능해진다. 지진탐지 시간 단축으로 지진 발생 시 근거리 ... ...
뿌리 유전자 진화시키며 가뭄에 더 강해진 옥수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해부한 뒤 디지털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해 뿌리에서 다양한 작용을 하는 100개의 유전자
위치
를 한 번에 확인했다. 공간전사체 분석은 특정 시점에 발현하는 유전자 활동을 순간적으로 포착하는 기법이다. 분석 결과 옥수수, 수수, 기장 각 곡물에서 이 점액의 생산을 돕는 유전자는 각기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근거 없는 '괴담'
2023.05.09
필요하다면 우리만을 위한 맞춤형 대책도 마련해줘야 한다.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이
위치
한 우리 입장에서는 절대 과도한 요구가 아니다. 우리 정부가 책임지고 관철시켜야만 하는 일이다. 우리 시찰단이 후쿠시마 현지에서 직접 오염수의 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해야 한다는 일부 환경단체의 ... ...
NASA가 분석한 '다누리' 영상...달 착륙지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사진은 지구에서 반사된 빛을 이용해 그 모습이 담겼다. 지구가 달의 지평선 위로 35도
위치
했을 때 봉우리를 촬영한 이 사진에선 다양한 종류의 암석이 확인됐다 ... ...
행성 잡아먹는 별 관측...50억년 후 지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연구팀은 원인을 밝히기 위해 관측자료 수집에 나섰다. 우선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
한 팔로마천문대의 광역천제 관측장비인 ‘ZTF’를 활용했다. ZTF는 광시야 카메라로 이틀마다 전체 밤하늘을 이미지화 할 수 있다. 폭발하는 별과 같이 빠르게 변하는 빛을 포착한다. 분석에 따르면 폭발로 10일 ... ...
첫 실전 발사...누리호 발사까지 남은 일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40m의 X-대역 영상레이다(SAR)를 활용한다. SAR 외에 상변환물질 적용 열제어장치와,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갈릴레오 복합항법 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 등이 탑재된다. 임무 수명은 2년으로 고도 550km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큐브위성은 7기가 실린다. 큐브위성은 수십 ㎏에서 작게는 수 ㎏ 크기의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홍릉에서 대덕, 다시 전국으로
과학동아
l
2023.05.06
있습니다. 연구기관들이 대덕특구에 모여있긴 하지만 폐쇄적인 구획 부지 내에 각각
위치
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전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대덕특구의 향후 50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대덕특구가 출범 10 ... ...
GIST·칼텍, 새로운 우울증 치료 후보물질 공동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04
크게 낮출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약물이 결합한 상태에서 수용체의 6번 나선
위치
에 따라 b-아레스틴과의 상호작용이 크게 달라지는 점에 착안했다. KOR은 원래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제 약물을 사용하면 3번과 6번 나선의 거리가 멀어진다. 연구팀은 이 거리를 더욱 극대화시켜 b ... ...
[오늘과학] 콘도르가 시체 먹는 이유...2200년전 배설물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사실을 알아냈다. 둥지가
위치
한 절벽 주변은 안데스 산맥의 남부 화산 지대 주변에
위치
해 있는데 기원전 300년 경 이곳에서 4번에 화산 폭발이 발발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3번의 화산 분화가 일어났다. 수 차례 화산 폭발로 인해 이곳은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