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발
파열
폭팔
격앙
넘쳐흐름
끓어오름
넘쳐흐르는 상태
d라이브러리
"
폭발
"(으)로 총 2,12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02
우주정거장 미르를 마침내 완성했다. 우연히도 발사시기는 미국이 우주왕복선 챌린저
폭발
사고를 당한지 한달여만인 1986년 2월 20일이었다. 그리고 1988년 11월 15일에는 미르의 운반차량으로 이용될 러시아 우주왕복선 부란의 성공적인 발사가 있었다. 이제 우주공간은 완전히 러시아가 독주하는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02
보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예상대로 여기에 머물지는 않을 것 같다. 그동안 쎌바이오텍은
폭발
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자사의 상표를 부착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 왔다고 한다. 그 결과 지난해 초 천연 송이버섯 균사체의 인공배양에도 성공했다. 송이버섯은 그동안 인공양식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 ...
대
폭발
우주론, 또하나의 시험 통과
과학동아
l
200102
지난해 12월 21일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는 현대우주론의 근간인 대
폭발
설이 새로운 시험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대
폭발
설에서 예측되는 ... 존바콜 박사는 네이처에 실린 해설기사에서“이번 발견은‘획기적인 사건’이고 대
폭발
우주론이 결정적 시험을 통과해 살아남았다”고 평가했다 ... ...
알루미늄 포일의 변신
과학동아
l
200102
안쪽으로 전달해 성냥 머리 전체의 온도를 고르게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규모의
폭발
이 일어나고 타면서 발생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헐거운 쪽의 성냥이 튀어나가는 것이다.은보다 비쌌던 알루미늄알루미늄 캔, 알루미늄 포일…. 알루미늄은 주변에서 쉽게 쓰이는 금속이다. 그러나 188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01
있다. 놀라운 사실은 미 국방성이 인공위성 탐지·추적과 더불어 소행성의 상층대기
폭발
과 NEO 추적감시활동을 수행한다는 것. 이것은 관련 연구가 과학적으로 가치있는 결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안보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미 의회의 전폭적인 지원 덕분이다 ... ...
고기를 연하게 만들려다 발견된 살균 방법
과학동아
l
200101
담은 플라스틱 통까지 파괴됐다. 이에 플라스틱 통 대신 두꺼운 금속탱크를 땅 속에 묻고
폭발
시켰다. 의외로 플라스틱 통을 썼을 때보다 고기는 연해지지 않았다. 반면 세균수가 많이 줄어드는 연구결과를 보였다. 계속된 연구를 통해 세균수를 1천배까지 줄였고, 세균박멸법으로는 최고인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01
전자기장을 교란시켜 전력과 통신이 두절되는 현상 등이다. 마치 거대한 핵폭탄이
폭발
했을 때와 비슷한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다.우주의 핵폭탄을 연상시키는 엄청난 피해를 가져오는 소행성 충돌에 대한 대책은 무엇일까. 소행성 충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미리 지구에 위협이 될 만한 ... ...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01
아이모드(i-mode)다. 아이모드는 전세계적으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폭발
적인 기세로 무선인터넷 인구를 늘려나가고 있다. 1999년 2월 첫선을 보인 이래 지난 8월 가입자 1천만명을 돌파, 이미 일본내 유선인터넷 인구를 앞질렀다.아이모드 이용자를 포함한 일본의 무선 인터넷 인구는 올해 ... ...
정보통신보호연구실
과학동아
l
200012
전체 인구의 50%가량이 인터넷을 사용해 시설이 사람들의 욕구를 맞춰주지 못할 정도로
폭발
적이다.시골의 노인들도 인터넷이란 단어를 알고 있을 정도로 인터넷은 생활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텔레비전 광고처럼 인터넷으로 못하는게 없을 정도로 편리한 세상이다.그러나 정보를 보호하는 암호화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12
첫 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당연하다. 1980년대 중반부터 애기장대에 대한 연구가
폭발
적으로 증가했고, 결국 1991년 ‘다국적 애기장대 게놈프로젝트 컨소시움’(MCAGP)이 구성됐다.올해 말 첫 서열 밝혀져미국, 일본, 유럽연합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국제컨소시엄은 2000년 말에는 식물에서 처음으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