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날"(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경솔한 행동을 한 죄로 가을 학생은 놀이동산에도 가지 못하고 숙소에 있었대.“다음날 제가 대상을 탔다고 연락이 왔어요. 엄마가 저에게 많이 미안해하셨죠. 대상을 탔다고 하니 ‘내가 세계에서 1등이다’라는 생각에 정말 좋았어요. 하지만 전날 야단을 많이 맞은 탓에 친구들 앞에서는 겸손하게 ...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3호
- '휘익~, 툭!'킁킁, 나 …. 지금 쓰레기통에 온 거니? 이럴 수가…! 과자를 담아 사람들에게 고이 전해주었건만, 공을 알아 주긴 커녕 쓰레기통에 버리다니 …. 사람들이 내가 가긴 재주를 몰라서 그러나 본데, 아마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어라, 내 말을 안 믿는 표정들인데 …. 날 따라와 봐. 내 얘길 ...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안녕하세요? 어과동TV 기상캐스터 안흐려입니다. 오늘은 좀 특별한 예보를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올 여름의 날씨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예보인데요, 이는 어떤 세 분의 간곡한 요청으로 해 드리게 되었습니다. 어떤 분들이 무슨 이유로 이런 요청을 하셨는지, 그리고 올 여름의 날씨는 ...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필자는 전문 음악인이 아니기 때문에 이 글의 내용보다 더 깊은 수준을 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글만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어도 큰 어려움 없이 노래반주 중 조옮김까지 즉석에서 할 수 있다. 필자도 기타를 잡고 가끔〈Friends〉와 함께 〈Dr.Black Hole & Friends〉라는 이름으로 공연하고 있음을 밝혀 ...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지지직 팟! 깜깜하던 창고 안이 환해진다. 한국전력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끊은 뒤 자체발전기의 스위치를 올리자 천장에 달린 백열등이 환하게 켜졌다. 더러운 것, 쓸모없는 것,버려야 할 것으로만 생각됐던 배설물이 전기로 다시 태어나는 모습을 눈으로 목격한 순간이었다. “이 시설을 축산농가 ...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열흘이 넘게 달라진다. 그래서 그레고리 13세는 남는 날짜를 없애기 위해 1582년 10월 4일의 다음날은 10월 15일로 정했다. 윤년 구하는 법 ❶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다. 예) 1996, 2004❷ ❶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 아니다. 예)1900, 2100❸ ❷중에서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펑퍼짐한 유리잔 아래로 이어지는 얇고 기다란 다리를 잡고, 살며시 잔을 흔든다. 잔을 반쯤 채운 보랏빛 물이 흔들흔들 돌고, 그 안에 비친 조명도 뱅글뱅글 돈다. 달콤하면서도 시큼한 향기가 퍼져온다. 향을 맡으니 잔이 저절로 입술로 향한다. 차가운 잔을 기울이면 달콤한 포도향이 먼저 코에 ...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즉 4월은 일요일로 시작하고, 11월은 수요일로 시작한다. 12월 30일은 토요일이고 그 다음날은 무요일이므로 이듬해 1월 1일은 다시 일요일로 시작한다.만일 미래에 그런 달력을 사용한다면 2043년 7월 5일은 7월 1일이 일요일이니까 목요일이다. 윤년일 때에는 6월 30일 다음에 휴일인 무요일(無曜日)을 ...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해마다 12월 31일이 되면 서울 종로보신각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다. 130년 전 미국 뉴저지에서도 이처럼 독특하게 새해를 맞는 행사가 있었다. 1879년 12월 31일 멘로파크에서 열린 백열전구 시연 행사였다.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은 2년 동안 준비 ...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우리 주변의 사물을 수로 나타낼 때 가장 많이 쓰는 수는 자연수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자연수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요? 어떤 친구와 친해지기 위해서는 그 친구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듯이, 자연수의 성질을 아는 것도 수학을 잘 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입니다. 자연수의 성질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