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빗자루
비율
상심
슬픔
설움
애상
애도
d라이브러리
"
비
"(으)로 총 2,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수은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친화적이다. 이처럼 LED는 원래 다른 광원에
비
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LCD TV 수요가 있는 한 LED TV시장은 계속 확장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실제로 동물이 가축화되는(삶이 단순화되는) 과정에서도 뇌 용적이 줄어드는데, 개는
비
슷한 몸집의 늑대보다 뇌 용적이 30% 정도 줄어들어 있다. 결국 뇌가 작아지는 현상 역시 자연선택의 하나일 뿐이다.리버만 교수는 “지금까지는 나를 포함해 많은 과학자들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에 대한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뿐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기 때문이다. 뱀장어는 흔히 민물장어라고 불리는 종이다. 눈이
비
교적 작고 등은 짙은 갈색에 배는 은백색이며, 몸 양옆이 황금빛을 띠고 있다. 아나고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잘 알려진 붕장어(Conger myriaster)는 눈이 크고 옆줄을 따라 흰 점이 한 줄로 달려 있어 뱀장어와 쉽게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아세틸콜린을 단기간 차단하는 방법이나 미세현미경이나 X선 영상장치를 이용해 땀을 분
비
하도록 만드는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진피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와 피하지방 사이에 있는 층으로, 이 부분에 에크린땀샘과 아포크린땀샘이 있다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
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같은 굴욕적인 별명도 얻었다. 돼지처럼 뚱뚱해지고 닭처럼 날지 못할 정도로
비
대해졌다는 뜻이다. 이것도 모자라 이제 유해한 동물까지 됐다.하지만 인간도 책임을 면할 순 없다. 시도 때도 없이 먹이를 던져주며 번식력을 키워준 장본인이 바로 우리이기 때문이다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다른 학생들에
비
해 다소 낮았지만 졸업할 때의 평균성적은 다른 학생들을 뛰어넘었다.
비
전을 가지고 노력하면 대학 4년 동안 충분히 성장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 셈이다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
밀 |한무영 지음 | 그물코|161쪽 | 1만 원 최근 물에 대한 논란이 많다. 우리나라가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4대강 ... 구체적인 방법과 세부 기술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부의 원천인 녹색융합
비
즈니스를 창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
섬유 넣은 콘크리트로 ‘건축 빅뱅’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거죠. 앞으로도 건축의 수준을 높이는 일에 제가 가진 역량을 쏟아 부을 겁니다.”고수의
비
법전수장래 계획을 세울 때, 적게 노력해도 큰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찾겠다고 생각하는 건 현명하지 않다. 자신이 좋아하는 곳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그에 합당한 수확을 거둔다는 진리를 마음에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
만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평균 2.1cm가량 더 컸다. 지난해 서구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도 이 부분의 SNP가
비
슷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걸로 나왔다. 이 밖에 ZBTB38(AA형이 GG형보다 평균 1.5cm 더 큼), PLAG1(AA형이 GG형보다 평균 0.3cm 더 큼), EFEMP1(GG형이 AA형보다 평균 0.6cm 더 큼) 같은 유전자 부근에 있는 S ...
色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부작용이 있듯이 색이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도 있다. 1997년 말, 일본에서 텔레
비
전으로 인기 애니메이션 ‘포켓몬’을 보던 어린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작을 일으킨 사례가 대표적이다. 파랗고 빨간 광선이 약 10초간 번갈아가며 화면에서 작렬하는 장면을 본 어린이 수백 명이 해를 입었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