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균형 잡기의 달인이 되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분석했답니다. 연구팀은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해 파리가 비행하는 모습을 촬영했어요(위 사진). 파리는 천장에서 떨어지면서 몸통을 먼저 돌린 뒤, 머리를 돌리는 방식으로 자세를 잡았죠. 회전하는 데엔 0.05초가 걸렸고, 몸통이 돌아간 뒤 0.016초 뒤에 머리가 돌아갔어요. 연구팀은 이를 두고 ... ...
- [한 장의 과학] 수고했어, 안녕! 아레시보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미국 국립과학재단은 지난 11월 19일 미국령 카리브해 섬나라인 푸에르토리코에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을 해체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어요.해체하게 된 결정적인 사건은 11월 8일에 일어났어요. 무게 900t(톤)의 망원경을 지탱하던 철제 케이블이 끊어지면서, 아래쪽에 있던 직경 305m 크기의 접 ... ...
- [특집] 2020 어과동 어워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Part4.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 ★도움 및 사진장이권(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교수), 윤미정(국립수목원 수목원과 임업연구사), 추헌철(서울특별시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실무관), 지구사랑탐사대 완도탐사대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만 4594건이나 되지요. 정확한 분석을 위해 국립수목원에서는 모든 탐사기록을 살펴보고 사진 속 식물이 어떤 종인지 동정*하고 있어요.그리고 최근 중간 결과로, 4년간 탐사 대원들이 가장 많이 만난 귀화식물을 추렸습니다. 가장 많은 종은 개망초였고, 서양민들레와 토끼풀, 소리쟁이, 망초가 뒤를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XLSSC 105’의 모습이 담겼어요. 이 은하단엔 수백에서 수천 개의 은하가 모여 있지요.이 사진은 1999년 발사된 XMM-뉴턴 엑스선 우주망원경과 미국 하와이에 있는 스바루 망원경, 미국 버지니아에 있는 그린뱅크 전파 망원경으로 관측한 모습을 합성한 거예요. 연구팀은 스바루 망원경으로 찾아낸 ... ...
- [출동!기자단] 지니와 함께 KT AI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지니야~!”지난 11월 9일, 4명의 독자 기자가 광화문 KT 본사로 출동했어요. KT AI 코딩블록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명령을 직접 실행에 옮기는 KT AI 코딩팩으로 AI 비서 지니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였죠. 이날 기자단 친구들에겐 AI 강아지 로봇을 직접 조립하고 먹이를 주라는 미션이 주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무선 이어폰 케이스를 '어몽 어스' 캐릭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웅하! 궁금한 게 있으면 유튜브를 검색하는 경우가 종종 있소. 예를 들어 ‘칫솔질을 깨끗하게 하는 방법’ 같은 건 글로 적힌 설명을 읽는 것보다 영상을 통해 배우는 게 훨씬 효과적이지 않겠소? 세상이 참 많이 좋아졌소…! ‘어몽 어스’라는 게임 알고 있나요? 거짓말을 하는 외계인 ‘임 ... ...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 있다고 추측해 왔지요. 연구팀은 ‘달 정찰 위성 카메라(LROC)’로 영구음영지대의 사진을 수천 장 찍어서 분석했어요. 그 결과, 영구음영지대의 총면적이 약 4만km2로, 기존에 추정한 면적(2만km2)보다 두 배 넓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이를 통해 면적이 넓은 만큼 물의 양도 많을 것이라 추정할 수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핼러윈 호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두 개의 빛나는 별이 호박의 눈을, 주변의 흩어진 별들은 호박의 얼굴을 닮았지요. 이 사진은 사실 두 은하 ‘NGC 2292’와 ‘NGC 2293’가 충돌하면서 형태가 바뀌는 모습이에요. 두 은하는 훗날 하나의 나선은하로 합쳐져 우리은하의 두 배 이상 크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마주치는 픽셀에 흔적을 남기는데, 이 신호를 저장하는 것이 사진을 찍는 것과 같아요. 사진처럼 검출기도 픽셀이 많아질수록 정밀해져요. 그럴수록 저장해야 할 데이터량도 많아지지요.실리콘 검출기 중에서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3cm, 1.5cm인 칩 하나에 픽셀이 약 50만 개나 있는 것도 있어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