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 씨는 ”못하는 것을 쳐내는 방식“으로 전공을 택했다. 물리학에는 흥미가 없었고, 생물학은 실험을 자주 해야 하니 적성과 맞지 않겠다고 판단했다. 반면 컴퓨터공학은 흥미도 있었고 가장 잘했다. 이 씨는 수시의 가장 어려운 점이 ”내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조각이 토끼의 꼬리를 닮았나? 돌토끼 고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양치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아도 번식할 수 있는 식물 중 큰 잎을 만드는 식물이에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양치식물 중 78%가 제주도에 살지요(2010년 기준). 이번에 소개할 양치식물 ‘돌토끼고사리’도 제주도에 주로 살아요. 여러 해를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초록색을 유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만 영향이 크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미국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항균제 및 화학요법’ 2008년 8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128/AAC.00344-08 타미플루가 작용하는 효소인 뉴라미니데이스는 시알리데이스의 일종이다. 시알리데이스는 당단백질이나 당지질을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잔 골드버그도 기억에 남는다. Q 과학 분야에서 여성의 수가 적은 이유가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과학적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과학계에는 여성의 참여를 막는 다양한 문제가 있다. 부모나 교사가 갖는 무의식적인 편견은 어린 여자아이가 자신에 ... ...
- [10대의 약] 매사에 공격적이고 예민해요 ‘중2병’일까요, 우울증일까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경우에는 우울증이라고 정의합니다.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유전적 원인(우울증 가족력), 생물학적 원인(뇌 신경전달물질 부조화, 갑상선기능저하 등) 등에 의해서도 우울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우울증은 성인 우울증과는 증상이 조금 다릅니다. 쉽게 말해 성인 우울증을 대변하는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활동하는 사진작가 헨리 코스키넨이에요. 새를 연구하는 생물학자와 철학자, 프로그래머를 거쳐 지금은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답니다. 자연을 정말 사랑해서 그 아름다움을 사진으로 남기는 작업을 하고 있지요. 2018년에는 유명한 사진대회에서 상도 많이 받았어요! Q ... ...
- [이달의 PICK] 올해는 너로 정했어, ‘루비 초콜릿’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않을까. ● 초콜릿 풍미가 다양한 이유 로잔 프레이타스 슈완 브라질 라브라연합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초콜릿이 다양한 풍미를 갖는 이유를 분자 단위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카카오빈이 발효될 때 시간에 따라 우위를 점하는 세균이 달라지면서 다양한 산물이 순서대로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인간을 공격하는 문제견으로 인식돼 안락사 된다. 콘 슬로보드치코프 미국 북애리조나대 생물학과 명예교수는 개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해 이런 무분별한 안락사가 일어난다며 개의 언어를 해독해줄 번역기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슬로보드치코프 교수는 2017년 줄링구아(Zoolingua)라는 스타트업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매년 연구자들이 남극 세종기지와 장보고기지에서 남극의 자연환경과 기후, 다양한 생물을 연구한다. 책의 저자인 김정훈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역시 15년 동안 남극 연구를 진행한 세종기지의 터줏대감이다. 이 책에는 김 책임연구원이 연구한 남극의 다양한 동물 생태가 담겼다. 남극의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에 따라 자국에만 서식하는 생물의 유전자가 귀중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추세다. 생물의 유전 정보가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지,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항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남한은 인구밀도가 너무 높아 더 이상 호랑이가 살 수 없지만, 북한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는 가능성이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