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질
성격
본질
천성
됨됨이
특성
특징
d라이브러리
"
성질
"(으)로 총 3,2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Genesis)물방울은 둥근 구 형태이므로 모든 방향에서 오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이런
성질
을 이용하면 벽에 그려진 커다란 세계지도를 작은 물방울 안에 담을 수 있다. ... ...
주기율표 속, 숨은 탐구활동 찾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설명하는 방법도 있다. 이번에 소개할 포트폴리오는 금속 원소를 직접 사용해 물질의
성질
을 확인하고 탄소 동소체 신소재에 관련한 실험 계획 및 예상 결과를 다룬 것이다. 전체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대체로 적절한 편이다. 특히 포트폴리오에서 사전 조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직접 탐구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발명가였던 몽골피에 형제는 물리적인 지식은 없었지만 일상생활에서 알게 된 기체의
성질
을 이용해 열기구를 만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열기구만 날려보고 그 다음에는 동물을 태워 날려봤어요. 마침내 1783년 11월 21일. 두 사람의 물리학자를 태운 열기구를 띄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900m 높이로 2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자기파를 이용해 위치를 관측하는데, 전자기파가 파동의
성질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이 불확정성을 줄여 파장을 작게 하면 파장이 입자에 부딪히고, 이 때 발생하는 충격은 입자의 운동량을 변화시켜 불확정성을 높일 수밖에 없다. 즉 ... ...
하드디스크 용량 100배로 늘어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는 원자의 자기장이 같은 방향으로 정렬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그런데 이런
성질
때문에 저장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원자의 자기장 방향이 서로 같으면 자기장이 외부로 나온다. 그러면 이웃한 자기장과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가까이 붙여 놓을 수가 없다. 이웃한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컴퓨터로 계산했다면 35년은 더 걸렸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큐브는 덧셈과 수학적
성질
이 같다?!큐브가 어떻게 뒤섞여 있어도 20번 안에 맞출 수 있다니 희망이 보이는군. 그런데 큐브를 맞추기 위해 이리저리 돌리다 보니 회전에도 뭔가 수학적인 원리가 있을 것 같아.다시 검색을 해 볼까…. ... ...
정교한 수학이 숨 쉬는 이탈리아 건축물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지어진 극장인데도 관중석 어디에서든 무대가 잘 보이고 소리가 골고루 잘 들린다. 원의
성질
을 이용해 극장을 지었기 때문이다. 무대에서 동심원을 그리면 관중석의 모양이 돼 별다른 음향시설이 없이도 소리가 골고루 퍼진다.또 한 가지 독특한 것은 아치를 이용해 바깥쪽으로 관중석을 더 늘린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물질 상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방법으로 죽는 별들의 모습, 우주 최초의 별들의
성질
등 여러 가지 천문학 난제를 풀기 위한 도구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불꽃축제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발생하는 열을 빨아들이고 공기 중으로 발산시킨다. 열을 이동시킬 수 있는
성질
인 열전도성이 높을수록 더 좋은 방열판이라 할 수 있다.데유 리 미국 반더빌트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비금속 나노 필름을 쌍을 지어 마주 놓으면 한 장만 사용할 때보다 열전도성이 최대 45%까지 향상될 수 있다는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스며들며 섞여 이웃한 논을 질퍽하게 만들었다. 김 실장은 “일본과 우리나라는 흙의
성질
이 다르다”며 “우리나라의 흙은 물과 흙이 더 잘 섞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만약 그 이유를 좀더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면 겨울철 둠벙에 물을 받거나 나아가 논에 물대기를 해서 농촌 생태계를 살리는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