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정수론 문제를 함수론 문제로 바꿀 수 있다는 캐나다 수학자 로버트 랭글란즈의
추측
이다. 정수론 문제는 보기에는 간단해 보인지만 실제 풀기는 매우 어렵다. 만약 함수론 문제로 바꿀 수만 있다면 어려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게 된다.응오 교수가 증명한 문제는 랭글란즈 프로그램의 아주 작은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무리수를 아주 가까운 유리수로 나타내는 방법인 리틀우드
추측
을 해결하셨어. 리틀우드
추측
은 80년간 미해결 문제로 있었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제곱과 세제곱표, 지수표)에서 시작됩니다. 함수의 유래는 천문학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
합니다. 달과 별 등의 천체 주기를 관찰하고 관찰된 위치의 주기적인 변화를 연구한 것에서 시작했습니다.17세기쯤 여러 가지 운동 연구에서 지금 사용하는 함수의 개념이 도입됐습니다. 이탈리아의 과학자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정수론과 함수론이 서로 동떨어진 학문이 아니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랭글란즈의
추측
중 기본보조정리를 증명하셨어. 기본보조정리는 어떤 특수함수를 다른 특수함수로 바꿀 수 있다는 거야. 쉽게 말하면 어려운 특수함수 문제를 쉬운 특수함수 문제로 바꿔 풀수 있다는 거지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땅볼을 친 타자가 1루에서 아슬아슬하게 아웃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이 거리를 정했다고
추측
된다.특이한 야구장 미국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AT&T파크’는 오른쪽 담장까지 거리가 94m로 짧은데다가, 작은 관중석 너머로 바다가 펼쳐져 있어 장외로 나간 홈런공은 바다에 빠진다. 미국 ... ...
[심리학 테라피] 영화 인셉션 과 인간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직접 낳은 부모라도 불가능하다. 부모는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 기대치를 근거로 자식을
추측
할 뿐이다. 그래서 종종 자식들로부터 “저에 대해 뭘 안다고 그러세요?”라는 반항어린 대답을 듣기도 한다. 인간은 자신에 대한 정보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예측할 수 없는 인생의 드라마를 쓰는 ... ...
190만 년 전 인류‘ 세디바’발 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두 점이 발견되며 세상에 알려졌어요. 연구진은 부분 화석을 토대로 몸 전체의 체격을
추측
했어요. 그 결과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침팬지처럼 팔이 길고 사람처럼 뛸 수 있는 긴 다리를 갖고 있으며, 키는 127㎝ 정도로 계산됐지요. 과학자들은 세디바를 통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저는 동료 씨앗 11개와 함께 발굴됐는데 저희 나이를
추측
한 게 바로 방사성탄소 동위원소(14C)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입니다. 14C는 약 5730년의 반감기로 14N으로 붕괴하기 때문에 화석(예외적으로 저희 같은 생명체)의 탄소에서 14C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면 그 화석의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발견되지 않았다. 물리학자들은 중력도 다른 3가지 힘처럼 매개입자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
한다. 중력의 매개자를 ‘중력자’(graviton)라고 미리 이름도 붙여놓았다. 그러나 중력자가 발견된다 해도 중력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명백한 대답이 제시될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2. 중력은 왜 약할까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머리 위의 불 색깔은 어떻게 알아낼까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없으니 논리적으로
추측
해야 합니다.이 문제와는 다르지만 다른 사람의 마음 속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니 떠오르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죄수의 딜레마’입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게임이론의 유명한 예로 범죄를 저지른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