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뉴스
"
사이
"(으)로 총 9,384건 검색되었습니다.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일회용 컵이었다. 그중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재로 종이 빨대가 주목받았다. 시민들
사이
에서는 종이 빨대가 불편하다는 평부터 정말로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보다 더 환경에 좋을지 궁금하다는 의문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이러한 목소리는 과학동아 독자들의 답변에서도 드러났다.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단일 품종인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대상으로 연구했다. 연구팀은 생후 4주~16살
사이
의 래브라도 리트리버 104마리의 DNA 메틸화 패턴을 분석해 후성유전학 시계를 만들고 이를 인간의 시계와 비교했다. 그러자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완전 아기 때와 완전 노년에는 인간과 개의 노화 양상이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잘린 꼬리는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꿈틀거려요. 그래서 천적이 꼬리에 한눈을 판
사이
에 도마뱀이 안전한 곳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뼈로 이뤄진 기존의 꼬리와 달리 새로 자라는 꼬리는 연골과 비슷한 힘줄로 이뤄져 있어요.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월 1일호,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 ...
꿀벌 줄어들자 '자가수분'으로 번식 전략 바꾼 팬지꽃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미쳤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다. 프랑스국립식물원이 1990년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
채집한 씨앗에서 싹튼 팬지꽃과 프랑스 시골 전역에서 갓 채집한 팬지꽃의 번식 양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최근 채집된 팬지꽃은 90년대 채집된 씨앗에서 피어난 팬지꽃과 비교했을 때 번식 과정에서 ... ...
뇌 전이 암 발병 원리 3D 프린팅 뇌혈관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더 많은 암세포가 혈관 내벽에 부착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암세포와 뇌혈관 조직
사이
의 상호작용에 따른 전이암 발달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했고 뇌혈관 모델을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도 진행했다. 혈관의 굽은 각도가 혈류 유속, 혈관 전단응력 변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 ...
수면 부족 3040, 10년 뒤 기억력·인지력 저하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몸을 뒤척이는 정도를 계산했다. 참가자들은 기상 전후 '수면일기'를 작성하고 0점~ 21점
사이
에서 수면 점수를 매기도록 했다. 동시에 기억력·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도 진행했다. 그 결과 11년 간 수면에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고한 175명 중 44명은 10년 후 인지능력이 저하됐다. ... ...
그래핀으로 반도체다운 반도체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자들이 모여 있는 부분과 전자들이 전혀 없는 부분
사이
에서 일종의 장벽으로 이뤄진 공간인 밴드갭은 자유전자들이 돌아다니면서 전기가 통하게 한다. 밴드갭이 없으면 항상 전기가 통하는 전도체가 되고 밴드갭이 너무 크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가 된다. ... ...
"척수 전기 자극, 우울증 치료에 효과"
연합뉴스
l
2024.01.03
내약성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3가지는 모두 양호했다. 부작용은 두 그룹
사이
에 차이가 없었고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척수 전기 자극이 이러한 효과를 가져온 기저 메커니즘은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또 이 결과는 예비적 선행 ... ...
"아이들 인지 발달, 장내 미생물과 연관 있어"
연합뉴스
l
2024.01.03
우울증 등 신경 발달 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는 장과 뇌
사이
에 신호 전달 경로가 존재한다는 장-뇌축(gut-brain axis)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장-뇌축 이론은 장내 박테리아의 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부산물들이 혈액을 타고 돌면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
'새끼 티라노'인줄 알았던 80년 전 화석 '신종 티라노'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Andrey Atuchin 제공 1942년 미국 몬태나주에서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 화석'은 고생물학자들
사이
에서 오랜 논란거리였다. 티라노사우루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졌지만 크기가 너무 작았기 때문이다. 백악기 흉포한 육식동물의 대명사인 티라노사우루스 성체는 12m에 육박하는 거구를 자랑했을 것으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