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스페셜
"
특정
"(으)로 총 1,5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작가의 또 다른 이름 덕후'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3월 5일부터 31일까지 ‘작가의 또 다른 이름 덕후’ 특별전을 개최한다.
특정
분야에서 애호가 수준의 애정과 실력을 갖춘 사람인 ‘덕후’의 이야기와 그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다. 20년 동안 나무를 깎아 열차, 자동차, 함선 등을 만든 송정근 작가가 1500여 시간 동안 제작한 목함선 10여 척 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왜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
2019.02.17
한때 한국 사회에서는 부인이 남편 기를 살려줘야 한다는 말을 쓰던 때가 있었다. 어느
특정
성별은 기를 북도움 ‘받아야’ 하는 존재, 다른 성별은 기를 북돋는데 사용되는 존재라고 정의해온 우리 사회의 관습이 어쩌면 여성을 향한 자격의식과 그로 인한 피해의식을 키웠을 지 모른다. 결국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③컴퓨터와 대화하는 법
2019.02.11
코딩이란 어떤 것일까? 위키피디아에서 코딩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추상 알고리즘을
특정
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구체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기술”로 정의돼 있다. 일반인 입장에서 보면 외계어가 따로 없다. 어려울 땐 차근차근 따라가 볼 필요가 있다. 일단 ‘추상 ... ...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인공강우의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 자연적으로는 구름이 이동하면서 비를 내리는데
특정
지역에서 구름의 수분을 인위적으로 다 써버리면 다른 지역에 비가 덜 내리게 된다. 또 이번처럼 실험 규모가 아니라 실제 대기 질 개선을 위해 대량으로 요오드화은을 살포할 경우 떨어진 비가 토양을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공격하는 부작용 사례가 일부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특정
단백질로 활성화된 면역세포가 정상세포도 공격하는 부작용을 해결하려는 연구결과를 비롯해 많은 환자들에게 효과를 보인 면역항암제 임상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면역항암제가 여전히 매력적인 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음모론은 일본 관동대지진 때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는 소문처럼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를 확산하거나 백신에 대한 음모론처럼 공중보건을 크게 위협하기도 해서 어떤 사람들이 이러한 음모론에 유독 취약한지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사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타이밍의 중요성이 더 주목을 받고 있다. 많은 칼로리제한 동물실험에서 제한군은
특정
시간대에 먹이를 받고 대체로 금방 다 먹는 반면(배가 많이 고프므로) 대조군은 수북이 쌓여 있는 먹이를 아무 때나 먹을 수 있다. 즉 제한군은 칼로리뿐 아니라 사실상 시간도 제한한 것이기 때문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커뮤니티와 일반 사교 커뮤니티, 당뇨나 암 같은 신체 질환 환자들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특정
단어들이 등장하는 빈도를 조사했다. 포럼마다 활발한 회원들이 작성한 글과 댓글에서 약 3만개의 단어를 추출했고 우울·불안 장애 집단과 비우울증 집단을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10명을 선정해 20일자에 발표했다. 카오 연구원은 전기전도도가 매우 우수한 그래핀이
특정
온도에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가 될 수 있다는 것도 규명했다. 그는 그래핀의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발견한 두 가지 연구 성과를 연달아 발표하면서 물리학 분야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분석했다. 단일세포 RNA 염기서열 해독 기술로, 제브라 피쉬의 배아가 25가지 종류의
특정
장기세포로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해독기술에 정교한 유전자 교정 도구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접목했다. 시간대별로 배아의 세포들이 자신의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