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15, 116, 118인 원소를 잇달아 만드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번에 117번이 확인됨에 따라, 2000
년
확인된 116번과 2002
년
확인된 118번 사이의 빈자리가 채워진 셈이다. 연구자들은 5개월 동안 초당 7조 개의 칼슘-48 이온을 버클리움-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다세포 생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해저 생물을 연구하던 중 수심 3000m의 퇴적층에서 다세포 동물 세 종류를 발견했다. 2006
년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살아 있는 다세포 동물을 발견한 적은 있지만, 평생 동안 산소호흡을 하지 않는 종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이들 동물은 길이가 1mm가 채 되지 않았고, 형태나 구조가 해저 퇴적층에서 ... ...
고추장 1000
년
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좋은 고추장을 먹었다고 한다.고추를 이용한 요리가 기록된 문헌도 있다. 세조 6
년
인 1460
년
에 적힌 ‘식료찬요’에는 조선시대 임금과 양반이 귀하게 생각했던 보신 요리로 닭볶음탕을 만드는 방법이 나온다. 비장과 위의 기가 약할 때 누런 수탉에 고추장을 주재료로 넣어 잘 삶으라는 내용이다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않다.과학 언론들이 감시자 역할에 소홀해지고 있다는 지적은 해외에서도 나온다. 2009
년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자협회총회’에서는 과학적 신뢰성과 엄밀성을 떨어뜨리고 홍보 수단으로 전락한 과학 매체의 문제가 집중적으로 부각됐다. 국제 과학저널 ‘네이처’는 당시 특별판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실제 규모의 시스템을 가동해 실용화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데 의의가 크다.2009
년
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포도주 양조장에서 포도주 제조에 사용하지 못하는 하급 포도를 연료로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를 시험 가동했다. 이 연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브루스 로건 교수팀이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시간여행이나 순간이동, 투명인간의 탄생은 가능할까. 순식간에 우주를 건너 수백 광
년
떨어져 있는 행성까지 갈 수 있을까.현대의 과학지식을 신봉하는 이성주의자라면 전혀 이뤄질 수 없고 황당한 이야기라며 고개를 흔들지 모른다. 하지만 미국 뉴욕시립대 이론물리학자 미치오 카쿠 박사는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
년
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
년
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생물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시세계를 들어 올리는 광집게가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기술자에게 충분한 보상이 이뤄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허가 출원된 지 20
년
이 훨씬 넘은 이태리타올과 종이컵은 지금은 누구나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그런데 희한하게도 똑같은 기술을 서로 다른 사람이 동시에 개발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누구에게 특허를 줘야 하는 걸까. 이와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학들이 나노 관련 학과를 개설하거나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대에서는 2003
년
부터 국가 핵심연구센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가 운영되고 있다.4. 무엇을 배우나요?모든 분야의 과학적 지식을 필요로 한다.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 현상을 비롯해 생명현상까지 나노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한 비밀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거예요.세계적으로 공룡에 대한 연구는 1800
년
대 초부터 시작됐어요. 하지만 한반도 공룡에 대한 연구는 1972
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것이 시작으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어요. 아직도 남해안 곳곳에는 많은 공룡 화석이 ‘어린이과학동아’ ... ...
이전
1247
1248
1249
1250
1251
1252
1253
1254
1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