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목
강좌
교과안
교과목
내용교과
내용
d라이브러리
"
교과
"(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넘지 못하면 따로 시간을 내서 재시험을 본다.지금은 풀 붙이는 시간영국은 수업시간에
교과
서보다 유인물과 공책을 더 많이 이용한다. 매 수업마다 선생님이 나눠주는 유인물이 많기 때문에 수업시간 중에 유인물을 공책에 붙이는 시간이 따로 있다. 수업시간이 50분이지만 풀 붙이기나 문제 풀이를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빛의 산란 세기 측정은 논술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화학1
교과
과정은 아니지만 화학1 물 단원에서 응집제를 넣어 콜로이드 입자를 침전시키는 내용과 연관돼 있습니다. 세번째 방법은 화학1 물 단원에 나오는 수용액의 전기 전도도 변화를 바탕으로 용액의 부피가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평소 지구과학과 관련된 시사이슈에 관심을 기울이는 일도 필요하다. 최근에는 시사와
교과
서적 지식을 결합한 문제가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의평가는 확실히 공략 개념과 시각자료를 충분히 학습했다면 실전 문제를 바탕으로 출제경향을 분석하고 풀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수능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수학자가 만들거나 밝힌 수학적 업적은 대학교에서나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초·중·고
교과
과정에 없다 보니 이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물론 수학에 관심이 많다면 일부 수학자 이름은 들어봤을 수도 있다. 푸앵카레는 문제를 풀면 100만 달러를 준다는 밀레니엄 문제의 하나인‘푸앵카레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성질과 다르게 조건에 따라 부등호의 방향이 반대로 바뀔 수 있다는 것입니다.주어진
교과
서의 문제 4<6을 통해 부등식의 특별한 성질을 이야기해 봅시다. 양변에 양수인 2를 곱하면 8<12가 되어 부등호의 방향이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양변에 음수인 -2를 곱하면 -8>-12가 되어 부등호의 방향이 ... ...
기초결핍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요.수학 공부를 할 때, 친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교과
서와 문제집의 맨 앞 부분을 소홀히 하는 거예요. 기본이 되는 수학 용어와 개념 설명은 대충 건너뛰고, 결론으로 나와 있는 공식만 외우는 친구들이 많지요. 그리고 공식을 이용해서 푸는 몇 문제를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한 권이 보통 10만 원씩 하기 때문에 대부분 학교 도서관에서 한 학기 동안 빌려 쓴다.
교과
서를 펴낸 출판사에서 만든 문제집도 같이 빌리지만 문제를 푼 흔적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학생은 오후 2시 30분에 학교 수업을 마치면 댄스와 배구, 환경보호활동 등 클럽활동을 한 시간 정도 더 한 뒤 집에 ... ...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망생은 중등 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따라서 중등
교과
과정의 기본기를 갖추고 있다면 큰 무리없이 답변할 수 있다. 진로 계획 및 지원 동기에 대해서는 분명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좋다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양성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기존 대학과 교육방식이 크게 다르다. 먼저 이론 위주의
교과
과정을 탈피해 연구실습 위주로 진행된다. 교수에 대한 평가도 연구와 함께 교육 성과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양질의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매년 정부가 50억 원, 기업이 120억 원, 총 170억 원을 향후 1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해요.분명 수학이 더 중요해진다는 뜻인데 뭔가 자꾸 바뀌는 건 반갑지 않은 일이에요.
교과
서가 바뀌어서 형·누나의 참고서를 물려받지 못한 친구도 있을 거예요. 입시 정책도 자꾸 바뀐다고 하잖아요. 과연 이런 변화가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요? 가장 좋은 것이 있긴 한 걸까요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