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d라이브러리
"
돌
"(으)로 총 1,732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여신 아르테미스의 신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작업은 거의 20년이나 계속됐다. 발굴지 면적은 거의 2백m2로 깊이도 6m-9m나 됐다. 신전의
돌
들로 석회를 만들었던 용광로의 자리도 발견됐다. 당시 발굴된 유물이 현재 대영박물관의 특별 전시실에 있는 가장 유명한 전시품 중 하나다. 우드는 자신의 발굴을 토대로 아르테미스 신전의 복원도를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어떻게 알 수 있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고대인이 삶의 흔적을
돌
도끼, 움터, 고인
돌
등에 남겨놓았기 때문이다. 고대인이 바위에 여러 형상을 새긴 암각화가 그 중 하나다.1970년 크리스마스 이브, 울산광역시 울주 천전리 암각화를 시작으로 발견된 국내 암각화 유적이 10여개에 달한다. 이들은 주로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앞에 계단이 나타나면 뱀으로 변한다. 바퀴는 계단에서는 맥을 못추기 때문이다. 또
돌
이 많은 울퉁불퉁한 지형이 나타나면 폴리봇은 네개의 다리를 가진 거미로 변신해 엉금엉금 기어서 간다.“현재 자동차 공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로봇은 주어진 특별한 일만 하도록 설계했으므로, 새로운 일을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재거나 길잡이별로 별자리를 찾아갈 때도 도움이 된다.천문학역사의 물줄기를
돌
리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던8´의 오차는 실제하늘에서 얼마나 작은 각거리일까? 북두칠성의 국자손잡이에서 두번째 별 미자르를 보면 그 차이를 느껴볼 수 있다.바로 옆에 알코르라는 별이 붙어있는데 눈이 안좋은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7m인 거중기가
돌
을 들어올리려면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필요할까,수원성 밖5km지점에서
돌
을 수원성까지 옮겨 온 방법 등 탐구문제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답을 구할 수 없어 보이는 것까지 다양하다.이뿐만이 아니다.창덕궁 돈화문의 지붕 속에서도 탐구 문제를 찾을 수 있다.기둥 하나로 무거운 ... ...
가능성 보여준 양자 원격이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 상태가 무엇인지는 모른다. 광
돌
이의 측정 결과는 완벽하게 무작위적이므로, 광
돌
이는 X 공의 양자 상태에 대해 알아낸 것이 없다. 이것이 하이젠베르크의 원리를 위배하지 않으면서 양자 원격이동이 가능한 이유이다. 측정을 통해 입자의 완전한 양자 상태를 결정할 수는 없지만, 그 상태가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사용한
돌
로 숫
돌
이라는 것이 있다. 숫
돌
에 칼을 갈면 칼날이 날카로워질 뿐 아니라 숫
돌
의 면도 깎여 나간다. 이는 서로의 경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마찰로 인해 두 면이 모두 깎여 나가는 경우다. 이에 반해 근래 가정에서 사용하는 칼갈이는 칼보다 더 단단해 마찰시키면 주로 칼의 면만이 깎인다. ... ...
10
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제안했다(www.w3.org/History/1989/proposal.html). 그리고 1990년 버너스리는 NeXT라는 운영체제에서
돌
아가는 최초의 그래픽 웹브라우저를 만든다. 그가 만든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어린 아들이 자유롭게 하이퍼텍스트를 뒤지며 정보를 찾았다고 일화가 전해질 정도로 월드와이드웹이 채택한 하이퍼텍스트는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위치에 따라 밝기의 변화가 생기는 이유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금성은 지구의 안쪽에서
돌
고 태양과 가까운 궤도를 따르기 때문에 해진 후 서쪽하늘과 해뜨기 전 동쪽 하늘에서만 보이는 것이다.해보기2.수성을 찾아보자태양계의 아홉 행성 중 가장 안쪽 궤도를 도는 수성은 1초에48k를 달려 88일만에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떠나온 인류라는 것이 정설이었다.하지만 이번에 두개골과 함께 발견된 석기는
돌
을 아무렇게나 깨서 만든 가장 초보적인 형태였다. 게다가 분석 결과 이 화석은 호모 에렉투스보다 앞선 시기에 아프리카에 출현한 호모 에르가스터(Homo ergaster)로 밝혀졌다. 이들은 왜 유럽으로 이주했을까. 또 어떻게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