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옆집 개한테 장난을 치긴 해도 이런짓은 안 한다구요.”이거참씨가정말로군에게꿀밤을
먹이
며말을잇는다.“지난번우리집감을 서리하다가 걸려서 내게 된통 혼이 나자 억울한 마음에 이런 짓을한거지? 이못된 녀석!”정말로 군이 닥터고글 뒤로 쪼르르 도망치며 소리 지른다.“진짜 범인은 ... ...
파리 잡기는 어려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몸의 무게중심을 바꿔놓고 도망갈 준비를 한다는 거죠. 이런 파리의 재빠른 행동은
먹이
를 먹거나 교미를 하는 등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알맞게 이뤄진다고 해요.이제 파리를 잡으려고 파리채를 내리칠 땐 파리가 어디로 도망 갈지를 먼저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보너스 화보 2007년의 특이한 신종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속하는 이 가오리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모습으로
먹이
를 먹는다. 배 쪽에 달린 입은 마치 외계인의 얼굴 같기도 하다. 이 가오리의 발견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서인도양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날개 달린 여우?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 이 박쥐의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경우가 많아. 대신에 더듬이나 다리가 길어서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지. 또한 적은 산소와
먹이
로도 생존할 수 있도록 특이한 소화 기관과 호흡 기관을 갖고 있단다. 외부의 생물과 섞이지 않은 채 독특한 환경에 적응한 생물들은 다른 생물과 달리 특이한 면이 많기 때문에 색다른 지식을 얻을 수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질병을 옮기는 바이러스도 빠르게 퍼진다. 그리고 늘어난 쥐들이
먹이
를 찾아 사람이 사는 곳으로 와 전염병을 퍼뜨리는 것이다.깜짝 상식한국 지명을 딴 이름의 바이러스한타바이러스라는 이름은 1976년 이호왕 박사가 최초로 바이러스를 발견한 지역인 한탄강에서 유래했다.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뽑힌 나무가 군데군데 눈에 띈다.5 제주도에 흔한 미끈도마뱀. 11월임에도 날씨가 따뜻해
먹이
를 찾아 나섰다. (영산강유역환경청 김영호 씨가 미끈도마뱀 생태를 설명하는 동영상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6 오름 정상으로 가는 길에는 제주도 특산인 제주조릿대가 ... ...
[생태학]물고기 리더는 뚱뚱하고 몸 색깔 진해야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먹여 줄 것인지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 같다”며 “뚱뚱한 물고기가 날씬한 물고기보다
먹이
를 풍족히 먹었기 때문에 그런 외모를 가졌을 거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한편 큰가시고기는 무리가 클수록 우두머리를 빨리 뽑았다. 처음 몇몇의 물고기가 우두머리를 선택하면 대다수의 남은 ... ...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보여줬기 때문이다. 핀치새는 씨앗, 곤충, 과일, 나뭇잎 등을 먹는데, 특이하게도
먹이
에 따라 부리의 모양이나 크기가 제각각이었던 것. 예를 들어 크고 단단한 씨앗을 먹는 핀치새는 단단하고 뭉툭한 부리를 가진 반면, 작고 무른 씨앗을 먹는 핀치새는 작고 예리한 부리를 가졌다.특별전에서는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엄청나게 다르겠지만 몸의 중심축에 대해 좌우대칭일 가능성이 높다. 효과적으로
먹이
를 잡고 적을 피하는 데 좌우대칭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지구 최초의 좌우대칭동물인 플라나리아로 대표되는 편형동물에서 그 대답을 찾는 게 빠를 수도 있다. 즉 외계생명체는 감각을 받아들여 명령을 내리는 뇌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미세먼지와 떨어져 나온 피부 부스러기가 많다. 피부 부스러기는 집진드기가 좋아하는
먹이
이므로 천식이나 먼지알레르기 환자에게 치명적이다. 염화나트륨을 이용해 확실하게 청소해 보자. 가루로 된 염화나트륨은 표면적이 넓어 미세먼지와 더 많이 접촉한다. 염화나트륨은 수분을 잘 흡수해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