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말 좋아요.” 오 씨는 화학과 생명과학을 복수전공할 생각이다. 화학을 바탕으로 생명과학을 심도 있게 연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겨울방학부터는 정용원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앞서 밝혀진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을 과학자들끼리 공유하고, 이를 이용해 디지털 생명체를 만드는 게 목표였지요. 그 결과, 2014년에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으로 레고 마인드 스톰 로봇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뒤 지금까지 살아온 시간은 매우 짧아요. 칼 세이건은 ‘우주 달력’을 통해 우주와 생명의 탄생을 알기 쉽게 표현했어요.우주 달력은 우주의 나이인 138억 년을 1년으로 계산해 본 달력이에요. 이 달력에서 한 달은 실제시간으로 약 10억 년, 하루는 약 4000만 년 정도지요. 이 우주 달력에서는 1월 1일이 ... ...
- [과학뉴스] DNA 대신 치아로 성별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1호
- PNAS)’ 2017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니콜라스 스튜어트 영국 브라이튼대 약학및생명분자과학과 교수팀은 ‘아멜로게닌’이라는 단백질이 성염색체의 영향으로 남녀에 따라 아미노산 구성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전까지는 화석이나 오래된 사체의 성별을 파악할 때 DNA를 추출했는데, 오래된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면서 주목받고 있다. 의사 출신인 김윤근 전(前)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인체의 장내미생물을 분석해서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2014년 MD헬스케어라는 벤처를 세웠다. MD헬스케어가 서울대병원, 이화여대목동병원 등에서 환자 1만여 명을 대상으로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함께 마음 한 구석에 담아뒀던 연구에 대한 깊은 열망을 꺼냈다. 칭화대 인공지능센터는 생명과학, 컴퓨터공학, 반도체공학, 재료공학 등 7개 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융합 연구센터다. 삼성전자에서 개발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메모리는 ‘멤리스터(이전의 상태를 모두 기억하는 메모리 소자)’의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분야다. 인간과 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자세하게 밝혀내는 기초과학 연구에서 시작해 생명공학, 의료공학 등 공학 분야와 두루 협력해야 실현이 가능하다. 대학과 병원, 산업계의 협력이 필수다. 인공장기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갖춘 대변(大便)을 대변(代辯)한다. 인간이 필요하지 않다고 여긴 찌꺼기가 다른 생명에겐 꼭 필요한 물질이 되는 사례들도 소개한다. 간단하게는 대변은 비료가 된다. 또 벌레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변을 이용하는데, 이때 일종의 ‘전쟁’이 벌어진다. 대변을 먹는 동물과 청소동물이 서로 한정된 ... ...
- [가상인터뷰] 새로운 사냥법을 개발한 브라이드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섞인 생활하수 때문이지요. 생활하수에는 여러 미생물이 포함돼 있는데, 이 미생물이 생명활동을 하면서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사용해요. 그 결과, 물고기들이 호흡할 산소가 부족해져 숨을 쉴 수 없게 되지요. 그래서 물고기들이 산소를 찾아 수면 쪽으로 올라오는 거예요. 브라이드고래 역시 이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몸에 이상 반응이 오지요. 이를 ‘과민성 쇼크’라고 해요. 호흡이 어려워지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답니다. 또한 솔레놉신은 심장 기능을 떨어뜨려서 혈압이 떨어지고, 심장 박동이 느려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다만 외래 붉은불개미에게 쏘였을 때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는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