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번역판의 제목으로 택했다. 영국 BBC방송의 과학 프로그램 제작자인 팀 헤인즈와 고
생물학
자 폴 체임버스 박사의 공저다. 5억 4300만년 전 캄브리아기에서 1만년 전 플라이스토세까지 살았던 동물 112종의 화석과 상상도, 생태를 깊이 있게 다뤘다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고등학교 생물I에 나오는 신경전달 과정을 소재로 한 단계씩 연구 과제를 해결하며
생물학
지식을 추론·생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했습니다. 논제 1에서는 물리I의 ‘전류와 전하량’ 개념을 생물의 신경전달 과정에 적용해 해석합니다. 논제 2는 주기율표의 경향성을 해석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느낌이오. 생물은 럭비공이오. 예측이 불가능하단 말이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생물학
자들은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모아 하나의 ‘공식’을 만들려고 하오.그러기 위해선 돌연변이 속도나 환경의 영향, 유전자 재조합 효과 같은 요인들이 정량화돼야 하오. 유전자 조절부위와 단백질의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인종이나 개인별 유전적 변이를 찾아 이 변이가 어떤 질병이나 신체 특징과 관계되는지
생물학
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국인 게놈 지도를 만들면 한국인이 서양인이나 아프리카인과 유전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이것이 한국인의 외형이나 질병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이런 정보를 ... ...
“나비와 함께 훨훨~!” 나비박사 석주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무척 기쁘네요.박사님께서는 일제시대와 해방 직후까지 나비를 연구해 우리나라 근대
생물학
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하신 건지 설명해 주세요.저는 전국 곳곳을 돌아다니며 나비를 관찰하고 표본을 수집해 나비를 분류했어요. 그러는 동안 나비 분류학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크아아아~! 깜짝 놀랐지? 난 지난 11월 국립과천과학관에 찾아온 에드몬토사우루스야.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내가 한국까지 먼 길을 온 건 한국에 살았던 내 친구들을 찾고 싶어서란다. 한국은 공룡발자국 화석으로 유명하다기에 분명 나의 친구들도 많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거든 ... ...
‘어린이과학동아’의 힘! 열혈독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2호에 나온 비행기 특집이요. 삼촌이 비행기 기장이시라 비행기에 관심이 많아요. 그리고
생물학
이나 생명과학에도 관심이 많고요. 유전이나 혈액형 등에 대한 기사를 더 많이 보고 싶어요.우와~, 몇 년도 몇 호인지도 다 기억하나요?그럼요. 하도 열심히 봐서 몇 호에 무슨 내용이 실렸는지 다 외우고 ... ...
비글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모습을 더 보고 싶다고? 생물이 진화하는 과정을 짧은 시간에 볼 수는 없어. 그래서 진화
생물학
자들은 화석으로 발견되는 진화의 증거로 전체 진화 과정을 밝히고 있지. 최근엔 생물의 유전정보를 비교해 생물들이 서로 얼마나 가깝고 먼지 알아 내고 있어.이제 우리의 진화 여행을 마무리 해야겠다. ... ...
올해의 엽기 노벨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영양학 : 듣기 좋은 과자 씹는 소리가 과자를 더 맛있다고 믿게 만드는 심리학 연구.•
생물학
: 개에 기생하는 벼룩이 고양이에 기생하는 벼룩보다 더 높이 뛰는 이유•의학 : 비싼 가짜 약이 싼 가짜 약보다 효능이 더 좋다는 연구.*이그노벨상 : 1991년, 미국의 한 과학잡지 발행인이 지나치게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경우도 있다. 연구실 석사과정 정찬석 씨는 “학부에서 프로그래밍만 공부해 처음에는
생물학
지식이 부족해 고생했다”며 “1년 동안 혼자 생화학을 공부한 뒤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처음에는 서로 다른 영역을 공부하며 힘든 점도 있지만 다양한 전공의 연구원이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