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로"(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과학동아 l1993년 03호
- 계획하고 있다. 1.8m 망원경이 설치되는 돔은 일반적인 반구형이 아니라 사각형 (가로 세로 각 8m, 높이 7.2m)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이하다.현재 보현산에는 1m 자동망원경과 태양플레어망원경도 설치할 계획이다. 보현산 망원경은 1995년부터 이용될 전망인데,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과학동아 l1993년 02호
- 구별할 수 있다.■ 경위대식(altazimuth mounting)경통을 가로로 움직이는 장치(수평회전부)와 세로로 움직이는 장치(상하운동부분)의 조합으로 구성돼 있다. 경위대식은 상하 수평이동의 단순 명쾌한 가대이므로 초보자가 처음부터 별로 망설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형식이다. 가격도 비교적 싼 편이다 ...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2년 12호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검지기는 루프코일(loop coil)이다. 루프코일은 보통 가로 1.8m 세로 1.8m의 사각형 모양으로 아스팔트 표면을 전기톱으로 흠을 내어 코일을 삽입하고 그 위에 에폭시를 주입해 밀봉한 것으로 도로상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코일에 전류를 통하면 코일주변에 자장이 형성돼 ... ...
- 등검은 메뚜기과학동아 l1992년 11호
- 메뚜기과 등검은메뚜기(Eyperpocnemidini)에 속하는 곤충이다. 복안(複眼)에 가느다란 세로줄이 비슷한 종류와 구분하는 키포인트다. 앞가슴은 편편하며 체장은 날개의 끝까지 31~40㎜ 정도, 전체적으로 흑갈색의 색조를 띠고 있다. 앞가슴의 배면에는 짙고 좌우가 가느다란 황색의 선이 가장자리를 두르고 ...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2년 11호
- 'A'는 '100 0001', 'B'는 '100 0010' 등으로 약속하는 것이고, 화상정보는 하나의 화면을 가로 세로 각각 1천24개씩의 화소로 나누고, 한 화소는 그 빛의 세기에 따라 2백56등분으로 나누어 표시 한다.기억소자는 이러한 1, 0 데이터를 축전기(capacitor)의 원리를 이용해 저장한다. 즉 축전기의 전하량이 어느 정도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11호
- 통신분야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소니측은 기대하고 있다.이 '스쿠프맨' 안에는 가로 30㎜, 세로 5㎜, 두께 21.5㎜ 짜리 마이크로카세트가 들어간다. 또 카세트 안에 든 테이프는 소재가 아라미드인데 그 폭은 2.5㎜, 두께는 4.8㎛ 밖에 안된다. 비록 조그닿고 얇은 테이프이지만 내구성과 신뢰성은 매우 ... ...
- 곤충들의 집짓기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잎의 옆맥을 갉아 잎을 자르고 줄기를 남겨 놓는다. 곧 시들어버린 잎 표면을 마주보게 세로로 접고 잎끝에 한개의 알을 낳은 후 잎끝을 둘둘 말기 시작한다. 잎을 마는 행동을 살펴보면 한쪽편에 있는 세개의 다리로 잎의 만 부분을 잡고 그 반대쪽의 다리로는 말려는 부분을 끌어당기며 약 세시간에 ...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수직 집적하여 5백GD램의 초고집적 기억회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가로 세로 높이 각기 2X2X1㎝ 크기를 갖는 칩에 1백년치의 신문기사를 저장할 수 있다.이러한 웨이퍼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여, 재질이 전혀 다른 기판들도 3차원적으로 집적함으로써 전자나 광 등의 이질적 기능을 갖는 ...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과학동아 l1992년 10호
- 같이 가로축에서는 온도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증가하도록 잡았고(방향에 주의), 세로축에서는 위로 갈수록 광도가 상승하도록 잡았다. 이는 곧 이어 설명할 별의 분광형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H-R(Hertzsprung-Russell)도에서는 (그림2)와 같이 주계열성 거성 왜성이 각각 자리를 잡는다.별의 분광형은 ... ...
- 블랙 홀 탱고과학동아 l1992년 10호
- 자주 나타나곤 한다. 우리의 은하계에서도 둘이상의 후보들이 발견됐다. 1975년 모노세로 성좌에서 A0620-00이라는 쌍별이 발견됐다. 최근 천문학자들은 이 쌍별중 눈에 보이는 오렌지색의 별이 빠른 속도로 공전함을(적어도 1초에 4백60km) 밝혔는데 깜깜한 상대별로부터 멀리 떨어져있음을 감안할 때 그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