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d라이브러리
"
용량
"(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 발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외부로 샐 염려가 적다. 그러나 핵연료를 교체할때 발전을 중단해야 한다.(58만 7천kW
용량
의 고리 1호기의 경우 장전된 천체 핵연료의 3분의 1(16t)을 매년 교체하기위해 75일 가량 가동중단). 또 중수에 비해 열중성자 흡수가 많은 보통물을 사용하므로 3% 정도의 농축 우라늄을 써야하고 쓰고난 뒤에 ... ...
스피커시스템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처음 자작하는 분들중 콘덴서
용량
이 큰것을 사용, 튜이터를 고장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용량
이 크면 낮은 주파수가 신호까지 통과시겨 버리기 때문이다.최근에는 무극성 콘덴서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다.● 공구류마지막으로 스피커 시스팀을 제작하기 위한 공구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망치, 톱, ... ...
해양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5m로서 입지조건은 비교적 무난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발전방식은 단조지 단류식이고 시설
용량
은 4백80MW(20MW×24기)정도가 될 것이다. 개발시기는 빨라야 1990년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파력발전선박의 재난사고나 연안재해를 통해서 파력(波力)의 위력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파랑(波浪 ... ...
음성인식시스템 말을 알아 듣는 컴퓨터가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어휘의 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한 단어의 기준 패턴이 차지하는 기억
용량
이 크게 되며 특히 중요한 것은 실시간(real time)으로 음성인식을 하기 위하여 패턴 유사도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필요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기준 패턴의 수 즉 인식 단어의 수가 줄어들게 ... ...
생명의 기원과 진화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현재의 인간과 거의 같은 호모 사피엔스에 속해 여러가지 도구를 사용했다. 뇌
용량
도 현대인과 거의 같아졌다. 그들의 화석은 유럽, 중근동, 아시아 등지 여러곳에서 발견되었다. 이윽고 5만년전 쯤이 되자 '크로마뇽인'이 등장한다. 그들은 정교한 석기와 아름다운 조각, 회화등을 남기고 있어 ... ...
컴퓨터가동률 크게늘어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건설업 등으로 나타났다.컴퓨터활용에 대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시스템의
용량
부족으로고 답한 것이 19.4%로 제일많고 소프트웨어의 부족 등의 순으로 지적되었다. 이는 전산처리업무가 대폭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설치된 컴퓨터의 대체 내지는 증설을 위한 투자활동이 뒷받침되지 ... ...
전전자(全電子)교환기 국내 첫가동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계획이라고 밝혔다.TDX-10은 농어촌 및 중소도시는 물론 대도시까지 적용이 가능한 대
용량
전전자교환기이다. 분야별 연구계획을 보면 하드웨어분야는 부문별로 엄체가 개발을 담당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개발지도와 감독을 병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소프트웨어분야는 연구소와 업체들 간에 ... ...
수퍼 마이크로 컴퓨터 신기종 발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수 있어 미니급의 성능을 갖고있는 이 컴퓨터는 최고 3천5백만원에서 최저 1천5백만원까지
용량
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대우통신은 3월하순부터 이 컴퓨터를 본격 시판할 예정이다 ... ...
챌린저의 비극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무거워진 셔틀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엔진은 본래의 설계보다 109%나 더 큰
용량
을 발휘해야 했던 것이다. 상당한 위험은 예고되었다그러나 이것은 문제의 시작에 지나지 않았다. 종래의 유인우주기는 대기권으로 다시 들어 올때 생기는 문제를 흡열(吸熱) 물질을 사용하여 해결했으나 ... ...
풍력발전 - 그 실태와 원리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팔로 알토'에 있는 전력연구소의 조사보고에 따르면 새로운형의 기계는 4백∼6백kw의
용량
에서 지금보다 개선될 것이며 어떤 설계가 승리하게 될지는 아직 아무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앞에 언급한 '파오'박사는 "풍력발전은 20세기초의 자동차산업과 같다. 지금 막 시작한 셈이다"라고 말한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