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세밀한 장치와도 같은 것이 옛날 한 사람의 뇌 역할을 할 정도로 작아졌다가, 점차 그 장치가 줄어들 수 있는 한계까지 크기가 줄어 들었다. 먼 옛날 뇌라고 불렀던 것의 크기를 줄일수록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더 적은 에너지로 생각을 할 수 있었다. 그것은 줄어 들고 줄어 들어 반데르발스 ...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다른 이름이었다. 복수심과 명예심처럼 불필요하고 거추장스러운 감정이 여과 장치 없이 샘솟는 바람에 심장이 빠르게 뛰었다. 그리고 온도 감각이 널을 뛰면서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질 것 같은 위기감이 나를 휩쓸었다.나는 심하게 몸부림을 쳤고, 무언가 날카롭고 강한 것이 귀 위쪽을 강타했고, ... ...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을 우주로 보낼 때 꼭 필요한 추진 장치예요. 로켓은 추진체 역할을 하는 ‘1단’과 우주로 올려 보낼 위성이 실리는 ‘상단’으로 구성돼요. 지금까지는 추진체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면 이를 바다에 버렸어요. 무게를 줄여 우주까지 올라가는 데 필요한 연료의 양을 줄이기 ...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언제 가라앉을지 모르니 위험할 수밖에요.” 그의 팀은 돌고래호 안에서 위치발신장치인 브이패스(V-PASS)를 수거해 사고원인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 해경 수중과학수사대는 특수부대와 구조대에서 뼈가 굵은 잠수 베테랑들로 이뤄져있다. 이들은 최대 5노트(초속 2.6m)에 이르는 강한 조류를 만들 수 ...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경수 전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이 선임되기도 했죠. 우리나라의 핵융합연구 장치인 케이스타(KSTAR)의 건설 기술이 인정 받은 겁니다.전소리: 케이스타 설계에 참여하셨던 다른 분들도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계신가요?황용석: 물론입니다. 케이스타 건설에 참여했던 핵심 인재들이 이터가 건설되고 ... ...
-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측정해 보았어요. 그 결과, 사용자의 심박수를 6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었고, 기억 장치의 길이를 20%씩 1000회 이상 늘였다 줄였다를 반복해도 문제없이 작동했답니다.김대형 교수는 “사람들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이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 [News & Issue] 100m 그물망 띄워 바다 쓰레기 ‘싹’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부유식 그물망을 바다에 ‘학익진’ 형태로 설치해, 그물에 걸린 쓰레기를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해 회수할 계획이다.오션클린업의 최고경영자 보얀 슬랫은 2012년 테드(TED) 강연에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제거하는 이 같은 아이디어를 발표해 필요한 자금 200만 달러를 크라우드펀딩으로 모았다. ...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정받기에 충분했다. 권영관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실험장치 팀장은 “실험 완성도에 있어 네 번의 알파붕괴와 여섯 번의 알파붕괴는 매우 큰 차이”라며 “이제까지 원소 발견은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독일을 비롯한 유럽이 주도하고 아시아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 ...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점자 패턴으로 인식한다. 아르거스2는 안경에 부착하는 소형카메라(➊), 비디오 처리장치(➋), 환자 망막에 붙이는 전극판(➌)등 크게 세 가지 기기로 이뤄진다. 아르거스2를 개발한 세컨드사이트 사는 학술지 ‘안과학’ 2015년 6월 3일자에 아르거스2를 이식한 지 3년이 지난 환자 28명의 검사 결과를 ...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뒤, 실제로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측정했다.실험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50%가량 더 많이 길찾기에 성공했다. 이때 뇌의 반응을 비교해 보니, 남자는 여자보다 해마 부위가 활발하게 반응했고, 여자는 남자보다 전두엽이 더 활성화됐다.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