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종"(으)로 총 1,827건 검색되었습니다.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과학동아 l2002년 02호
- 덧붙였다. 윈·윈전략이 성공한 것이다.그런데 자율구동 대장내시경의 개발이 사업단의 최종목표인 마이크로 캡슐형 내시경 개발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사실 자율구동 대장내시경에는 MEMS 기술이 쓰이지 않았다. 둥근 긴 관 모양의 대장내시경은 지름 24mm, 길이 1백30-1백80mm로 아직 캡슐형태는 ...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연구분야에 올해 90억원을 포함해 10년 간 총 1천억원을 투자할 것이며, 6월까지 사업단을 최종 선정해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많은 난제들이 남아 있지만 탯줄과 태반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는 또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무심코 버려졌던 탯줄과 태반도 ...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세부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 여러 노선의 버스를 바꿔타듯이 다시 광케이블이 나뉘어 최종적인 지점까지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은 현재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다.그러나 지금의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으로는 인터넷 속도를 ...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이후 점차 수비를 강화하는 형태로 포메이션이 바뀌었다. 특히 4명의 수비라인 뒤쪽에 최종스위퍼를 두는 이탈리아의 빗장수비가 대표적이다.최근에는 지난 프랑스월드컵에서 프랑스가 채택해 우승한 4-4-2 포메이션이 유행하고 있다. 우리와 한조가 된 포르투갈, 폴란드, 미국도 4-4-2 포메이션이 ...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중력그물에 걸리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로 줄이기 위한 조치였다. 따라서 이것으로 최종적인 진입과정이 끝난 것은 아니다.탐사선이 원하는 궤도를 잡기 위해서는 이후로 3개월 정도의 어렵고 힘든, 속도를 늦추는 조정을 거쳐야 한다. 물론 현재도 진행중에 있다.최종 목표는 고도 4백km의 원형 ...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내년 중 발사 시험을 할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제 과학로켓인 KSR-III의 각종 부품에 대한 최종시험과 조립을 진행하고 있다. KSR-III는 1997년 말부터 개발에 착수한 액체 추진제 로켓으로 100% 부품을 국산화한 과학관측 로켓이다. 로켓엔진에서 만드는 힘은 최대 13t이며, 로켓의 최대 지름은 1m, ...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과학동아 l2002년 01호
- 1973년 11월 발사된 마리너 10호는 1974년 2월 무사히 금성의 도움을 받아 1974년 3월 처음으로 최종 목표지인 수성에 7백3km까지 근접해 사진을 보내왔다. 6개월 후에는 태양을 돌아 1974년 9월 4만8천km까지 접근했다. 탐사선은 메모리장치와 조정장치 고장 등으로 임무를 포기할 정도의 중환자였지만 1975년 ...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촘촘히 깔려있어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라운드 가장자리에는 물이 최종적으로 모이는 지름 20cm의 파이프가 빙 둘러져 있어 물을 경기장 밖으로 배출한다. 물론 이 파이프는 구멍뚤린 파이프와 연결돼 있다. 평범해 보이는 그라운드 밑에는 사실 이처럼 복잡한 파이프가 촘촘히 연결돼 ...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수학과를 졸업했다. 그리고 1961년 2월 같은 과에서 석사를 취득한다. 그런데 그의 최종 진로는 수학이 아닌 컴퓨터학. 1972년 12월 미국 텍사스 주립대에서 컴퓨터과학 석사를 취득했다. 그는 당시의 유학생활에 대해 "영어도 잘 모르는데, 듣지도 보지도 못한 기계에 대해 배우는 것은 무척 어려웠다"고 ...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제한된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테이프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계산, 기록(기억)하고 최종 결과를 출력한다.이런 개념을 바탕으로 입력 테이프에 기록된 A, G, C, T 기호의 연속체를 읽고 왓슨-크릭의 상보성의 원리에 따라 입력된 염기의 상보적 가닥을 출력 테이프에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