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관찰해 보고한 사실에도 그 통념을 뒤집는 현상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얇은 금박은
한쪽
에서 반사된 빛을 통해 보면 노란색으로 보이지만 다른 쪽에서 통과한 빛을 보면 파란색으로 보였다. 그리고 어떤 용액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색이 나타났다. 뉴턴은 이런 현상들이 어떤 빛은 통과하고 어떤 ... ...
형광 제브라피시, 눈에는 띄지만 매력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리 다이퀸 교수팀은 어항 세개를 나란히 둔 뒤 가운데 제브라피시 암컷을 두고
한쪽
엔 일반 제브라피시 수컷을, 반대쪽에는 녹색 형광을 띠는 수컷을 뒀다. 그 결과 암컷들은 시간의 80% 이상을 일반 수컷을 바라보며 지냈다. 형광 수컷이 주의를 끌려고 해도 소용이 없었다고.이런 차이는 색깔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중요한 무엇이 빠져있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었다. 가운데 테이블이 있고 벽에는 책장,
한쪽
에는 화이트보드가 있다. 주위를 둘러보다 창문이 나있는 벽을 바라보는 순간‘아, 그렇구나!’하는 발견의 기쁨(!)과 함께 의아함이 더 커졌다.“어떻게 책상이 안 보이네요. 혹시 제가 방을 옮기시는 중에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비뇽의 여인들’을 보면 피카소는 사각의 큐빅 모양으로 입체감을 표시했다. 또
한쪽
면에서만 대상을 보고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에서 본 모습을 하나의 평면에 합쳤다. 아인슈타인이 3차원 공간에 시간이라는 새로운 차원을 더해 4차원 시공간 개념을 만들었듯 피카소는 새로운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이 질문은 수천 년 동안 과학자들을 괴롭혔다. 대답은 어느
한쪽
이 완승을 거두지 못하고 시대에 따라 엎치락뒤치락했다.17세기에는 호이겐스의 빛의 파동론이 지지를 받다가 18세기에는 뉴턴을 좇아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빛을 입자로 봤다. 하지만 19세기 초 영국의 토마스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남아있는 것도 이런 연유이다. 닭을 기르게 된 또 하나의 중요한 계기는 닭싸움이다.
한쪽
다리를 들어 양손으로 잡고 외발로 뛰어가며 상대방을 쓰러뜨리는 놀이를 ‘닭싸움’이라고 부를 정도로 닭은 싸움을 즐기는 속성이 있다. 주로 서열을 정하기 위해서 싸우는데 지켜보면 치열하기도 하고 ... ...
별박사 이태형 별따기 다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서로 연결되면 벌레구멍(일명웜홀)이라는 통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벌레구멍을 타고
한쪽
블랙홀에서 다른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역시 블랙홀이기 때문에 빠져나갈 구멍은 없습니다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만드는 방식이 설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쌍둥이 빌딩을 만든 뒤 중간중간 다리를 놓아
한쪽
건물에서 문제가 일어나면 다른 건물로 대피하는 방식이다. 일본에서 구상한 에어로폴리스2001도 4개의 건물이 연합한 형태다.초고층 건물의 한계는 없다왜 사람들은 초고층 건물을 지으려고 할까. 바벨탑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막 깨어났을 때는 보통 물고기처럼 세로로 서 있고 눈도 양쪽에 박혀 있지만 자라면서
한쪽
안구의 골격이 녹아 내리면서 눈이 돌아가고 좌우 피부색이 달라지면서 옆으로 눕게 된다. 다만 눈이 돌아가는 방향이 오른쪽이냐 왼쪽이냐는 종에 따라 다르다.그렇다고 넙치처럼 눈이 돌아가는 게 ... ...
기름기 많이 먹으면 머리 나빠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빠뜨려 땅으로 올라오는 발판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고지방식을
한쪽
이 실수가 잦아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세인트 루이스대 존 몰리 박사팀은 미로실험을 통해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미로 곳곳에는 가벼운 전기쇼크를 일으키는 장치가 부착돼 있는데,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