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79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개발 전자가속기 허가…암 방사선치료기 국산화 앞당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C-밴드형 및 X-밴드형 가속관을
크기
가 작은 방사선치료기 개발에 활용하는 추세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전자가속기가 정부로부터 정식 사용승인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개발 부품 ... ...
트럭
크기
소행성, 27일 위성보다 더 가깝게 근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그 결과 2023 BU가 지구와 충돌할 위험은 없는 것으로 예측됐다. 지구와 충돌해도
크기
가 작아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대부분 불타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스카우트를 개발한 JPL 엔지니어 다비데 파르노치아는 “지구와 아주 가까운 지점을 지나갈 것”이라며 “역대 관측된 지구 근접체 중 가장 ... ...
영하 145도 견디는 SMR 압력용기, 3D프린팅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분말을 만드는 공정이다. 연구팀은 소용돌이형 노즐을 이용해 가스 분사 중 분말의
크기
를 미세하게 제어했다. 이렇게 제조한 3D 프린팅용 소재를 영하 196도 저온부터 80도 고온에서 실제 압력용기용 소재와 비교한 결과 안전성이 확인됐다. 압력용기용 소재는 영하 75도 부근에서 쪼개졌지만 3D ... ...
"소행성 이토카와, 절반은 빈 공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어렵다는 설명이다. 프레드 조단 교수는 "단일 암석 덩어리로 이뤄진 이토카와
크기
의 소행성 생존 시간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 소행성들이 집중 분포하는 지역인 '소행성대'에서 수십만 년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토카와가 이렇게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은 충격 흡수 ... ...
고래 몸집 커지게 한 유전자 규명.."암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영향을 연구해 오던 마리아나 네리 캄피나스주립대 박사후연구원은 고래 19종의 신체
크기
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9개를 비교했다. 19종 중 7종은 몸 길이 10m를 초과하는 거대한 고래였다. 연구팀은 9개 중 4개의 유전자(GHSR, IGFBP7, PLAG1, NCAPG)가 양성 선택(positive selection) 과정을 거쳤다는 증거는 ... ...
항생제 없이 바이오공정에 쓰일 세포 선별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내성 유전자가 아닌 160염기쌍(bp) 정도의 매우 작은 가이드 RNA를 사용해 플라스미드의
크기
를 줄일 수 있어 DNA 백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화장품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식물 유래 성분인 비사볼올(bisabolol)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항생제를 이용한 경우보다 선별된 플라스미드의 선별 ... ...
가격 10분의 1 낮춘 암 진단 기술, 국내 연구진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레이저도 한 대로 해결해
크기
를 기존 절반 이하로 줄였다. 상용화 시 노트북 두 배 정도
크기
로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영상기술의 성능은 1024 x 1024 픽셀 해상도에서 초당 7.5프레임 스캔 속도다. 이는 외산 기술보다 해상도가 4배 더 높고 영상해석이 4배 빠른 수준이다. 샘플을 실시간으로 ... ...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 이용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방출한다. 나노입자를 코팅한 트랜스페린은 나노물질이 서로 붙지 않게 막아 100nm
크기
를 유지하고 나노물질과 암세포가 잘 부착할 수 있게 해 활성산소를 암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응용재료 및 인터페이스' 1월 18일(현지시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위해서다. 그러면 음식에 들어 있는 영양소가 작은창자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
로 바뀌게 된다. 또 입으로 들어온 병균을 퇴치하기 위해서도 강산성인 위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1875년에 독일의 보트케(Gabriele Bottcher)와 프랑스의 레툴레(Maurice Letulle)은 위에 발생한 궤양의 점막부위에서 ... ...
레이저 빔으로 낙뢰 경로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금속 피뢰침이 사용되고 있다. 지붕에 설치돼 전류를 지반으로 유도하는 피뢰침은
크기
가 작아 감당할 수 있는 전류량이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낙뢰를 흡수할 수 있는 반경도 10m 정도로 제한적이다. 과학자들은 피뢰침을 대체할 기술로 더 높은 하늘까지 도달할 수 있는 레이저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