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스페셜
"
양
"(으)로 총 1,6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나올지 기대된다. ‘흙 속의 진주’가 아니라 ‘독액 속의 보석’인 셈이다. 다
양
한 독액 펩티드의 구조. 아미노산 시스테인 사이의 이황화결합(빨간색) 개수에 따라 분류했다. 이황화결합이 많을수록 펩티드가 더 안정하다. 오른쪽 위 Prialt는 청자고둥의 펩티드 지코니타이드의 제품명으로 2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꽤 낮다. 그런데 2000년대 이후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영
양
과잉에서 별 차이가 없다. 그 결과 우리나라 남자 아동/청소년 비만율은 26%까지 치솟아 OECD의 평균(25.6%)을 추월하기에 이르렀다. 리버먼 교수의 이론에 따르면 ‘한국인의 다음 세대는 부모보다 더 오래 살지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300곳 이상 돌아다니며 설문 조사를 했다고 한다. 주민분들에게 제비의 포식자인 고
양
이가 얼마나 드나드는지 확인하고, 제비에 대한 인식을 물었다. 직접 발로 뛰는 연구가 힘들진 않았을까? “전혀요. 한 달 동안 일찍 일어나 여러 집을 다니니 오히려 건강해졌어요. 제비가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많아지면 TCA 회로에서 숙신산이 푸마르산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나오는 활성산소의
양
도 많아진다. 이 활성산소가 신호로 작동해 UCP1이 활성형이 되고 열생성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로 활성산소가 단순히 세포에 해로운 노폐물이 아니라 신호전달물질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메탄의 경우는 상황이 훨씬 심각해 무려 25%를 차지하고 있다. 반추동물인 소나
양
의 트림이 주범이다. 오늘날 소의 8%가 들판에서 풀만 먹고 자란다. 소의 타고난 생리에 맞는 삶이므로 동물복지를 확실히 누리는 소의 비율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런데 소의 복지를 위해 밀집사육을 초지사육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가장 좋은 음식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의 보존에 주의하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다
양
한 맛을 경험하고 미각을 세련되게 만드는 것이 결국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관찰한답니다. 힘들지 않느냐는 질문에 김미연 연구원은 “남방큰돌고래의 다
양
한 매력을 알아가는 과정이 즐겁다”며 웃음을 지었어요. 지구를 위한 과학 WildToon #1 돌고래 추적자 제주도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의 웹툰을 보고 싶은 친구들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 웹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
2018.07.07
따라 적당히 내향적이었다가 적당히 외향적인 카멜레온들이 제일 많다는 것. 그래야 다
양
한 상황에서 더 적응적으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외향성뿐 아니라 나머지 네 가지 특성들도 그러하다. 내향적이지만 행복한 사람들 옥스포드브루크대 (Oxford Brookes University)의 연구자 피터 힐스 (Peter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물질을 주고받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별이 생겨난다. 약 46억 년 전 태
양
계를 이룬 물질도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 은하를 넘어 다른 은하와 은하간공간에 이를지도 모른다. 우리가 마시는 물 한 모금에 100억 년 전에는 뜨거운 WHIM에 있었던 산소 원자가 들어있다는 게 믿어지지 않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것이다. 대다수 사람들은 그 사이 어디 쯤에 위치할 것이고 따라서 카페인 섭취 시기와
양
에 따라 수면에 미치는 영향이 결정될 것이다. 앞에 예를 든 사람을 다시 불러보자. 아침 점심 두 잔보다 저녁 한 잔이 영향 더 커 이 사람은 카페인을 전혀 섭취하지 않을 때 아침 7시에 일어나 밤 1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