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16,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06
- 2300년이나 지난 지금 왕관 대신 다른 것으로 부력의 원리를 확인해볼 방법은 없을까?2006년까지 발행된 옛 10원짜리 동전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으로 이뤄져 있다. 구리와 아연은 서로 밀도가 다른 금속이다. 그래서 서로 물에 대한 무게, 즉 비중이 다르다. 금속마다 비중이 다르다는 성질을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06
- 최근 수년간 계약기간 중에 해고한 비정규직 연구원이 없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정규직 연구원 20명을 신규채용했고 비정규직 연구원 9명을 채용형 공채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했다”고 알려왔습니다.독자 여러분께 혼란을 드린 점 사과드리며, 잘못된 사실 보도로 피해를 입은 ... ...
- [과학뉴스]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1606
- 건강에 얼마나 해로운지 정량화한 결과가 나왔다. 홍콩대 웡 칫밍 교수팀은 홍콩에서 10~13년 이상 동안 거주한 65세 이상 노인 6만 6000명의 암 발병률과 지름 2.5μm 이하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미세먼지가 10μg/m3 증가할 때마다 암 발병률이 평균 22% 증가했다. 상부 ... ...
- [과학뉴스] 점점이 태양 수놓은 수성의 여행과학동아 l201606
- 5월 9일 오전 7시 12분(미국 동부표준시), 주목할 만한 천문현상이 펼쳐졌다. 2006년 이후 10년 만에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정확히 통과했다. 콩알만한 수성이 태양 위를 점점이 수놓았다.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과학동아 l201606
- 시각은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빙붕의 이동은 육상에 남아있는 빙하에도 영향을 미친다. 빙붕이 많이 깨져나갈수록 빙하의 이동 속도가 빨라져 해수면 상승을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06
- 1~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경은 교수는 “미국의 경우 항공기를 이용해 수년 동안 같은 지역의 대기 질을 조사하기도 한다”며 “우리나라도 이번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연구용 항공기를 확충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연구를 이어나가면 좋겠다”고 말했다.KORUS-AQ는 바다에서도 동시에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6
- 때문에 동물실험에서 자유롭다”며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를 필로폰 중독 청소년의 뇌손상 치료에 적용해 보는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처럼 최근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컴퓨터과학, 기계공학 등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동물실험을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06
- 없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옵니다. 여기에 경제적 사정으로 수술을 고려할 수 없는 청년들의 상실감까지 커지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법적 토대 마련이 시급해졌습니다.2046년 xx월간지 6월호단독! 천재 물리학자 뇌 받았지만 노벨상 시상 거부당한 C씨, 최초 인터뷰2045년 10월 초 어느 밤. 전 국민을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06
- 증명되고 있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남이 간질일 때와 스스로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해봤습니다. 여기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cerebellum)였습니다. 소뇌는 어떤 감각의 결과를 예측하는 역할을 하는데,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64%밖에 채우지 못한답니다.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물리학과 폴 채이킨 교수는 지난 2004년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구형보다 더 공간을 많이 채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초콜릿을 좋아해서 항상 둥근 유리 그릇에 M&M을 담아 먹었던 폴 채이킨 교수는 타원형의 M&M을 이용해 연구를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