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d라이브러리
"
날개
"(으)로 총 1,60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Kiwi)였다.
날개
가 도태돼 날지 못하는 새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21세기 키위는
날개
를 달고 심우주를 날게 될지 모른다.핵융합 우주선 다이달로스1973년부터 1977년까지 영국의 행성간 우주협회는 핵융합기술을 이용한 ‘다이달로스 계획’을 발표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이카로스의 아버지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짧은 꼬리와 긴 목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익룡 중 가장 큰 케찰코아툴루스는
날개
를 폈을 때 길이가 12m에 이른다.가장 특이한 프테로닥틸로이드 익룡은 아르헨티나의 후기 백악기 지층에서 산출된 프테로다우스트로(Pterodaustro)이다. 이 익룡의 아래턱에는 현생 수염고래와 비슷한 긴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명장 다이달로스는
날개
를 가진 사람이 너무 높이 날아 올라가면
날개
를 붙인 납이 해의 열로 녹아 버린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대인들은 천체를 가까운 거리에 있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해와 달이 불과 수km 정도 높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당시 사람들에게는 ... ...
3. 고온 서바이벌 게임의 승리자 세라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견뎌야하는 우주선의 앞부분에는 탄소-탄소 복합 재료를 사용한다. 우주왕복선 앞부분과
날개
의 전면부가 검은 색을 띠는 것이 탄소-탄소 복합재료가 쓰였기 때문이다.탄소-탄소 복합재료는 탄소섬유를 탄소로 굳힌 복합재료로서 그 구성 성분이 모두 탄소이므로 고온에도 강도가 감소하지 않는다.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거의 유사하다. 단지 앞발이 길어지고 꼬리가 줄었으며, 쇄골이 합쳐져 차골로 변하면서
날개
근육을 지탱할 수 있는 부위가 확보됐다는 점이 차이다. 확실히 시조새는 활강이 아닌 날갯짓에 의해 하늘을 날 수 있었던 것이다.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앞의 많은 증거들은 공룡과 새의 구분을 더욱 ... ...
나일론 발명가 캐로더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사람들로 듀폰의 전시관이 북새통을 이뤘다. 이어 1940년 나일론은 시판되자마자
날개
돋힌 듯이 팔렸다.때마침 태평양전쟁이 터지면서 일본에서 수입하던 실크가 더이상 들어오지 못했는데, 나일론은 이 틈을 타고 여성고급의류시장을 잠식시켰다. 애초에 나일론은 비단과 닮은 섬유를 만드는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꼬리깃털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것은 단지 이런 슬픈 사연 때문일까. 그렇다면 나비의
날개
가 아름다운 것은 왜일까.상대성이론으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은 1915년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들었다.Rab -$\frac{1}{2}$ gabR = $\frac{8πG}{{c}^{3}}$Tab 그는 “이 방정식의 왼쪽은 대리석 건물처럼 아름다운데,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큰 뇌를 가지고 있어 지능이 뛰어나고 민첩하고 빠른 포식자였다. 궁극적으로 앞발이
날개
로 변해 조류로 진화하게 된다.중요한 것은 먹이를 씹는 방법조반류(Ornithischia)의 공룡들은 용반류 공룡보다 진보된 골반구조를 가지고 있다. 치골은 뒤로 향해 있다. 아래턱에는 앞턱뼈가 생겨나 보다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순간적으로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밤나방은 땅바닥에 닿기 전에 잽싸게
날개
를 펄럭거리며 유유히 날아간다. 그러나 이 방법이 앞으로도 계속 통할지는 장담할 수 없다. 한 실험에서 날고 있는 박쥐 주변에 돌멩이를 던져보았다. 그러자 적지 않은 박쥐들이 돌멩이를 따라 낙하 비행을 했다.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암벽화, 아무리 짧게 잡아도 청동기시대까지는 거슬러 올라갈 이 바위 그림에는 사지를
날개
처럼 편 사람 모양이 그려져 있다. 자신의 몸통을 한마리 새처럼 날려서 하늘을 내왕할 수 있는 모습이다. 신화를 통해 우리의 조상을 회고할 때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물증이 아니다. 유물이나 물리적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