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희망을 노래하는 유쾌하고 멋진 세계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물론 한국에서도 하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요. 제 작업이 궁금한 친구들은 한
달
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 키트를 준비했으니 이용해 보세요 ... ...
[핫이슈] 마지막 모험, 함께 해줄래? 드래곤 길들이기 3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북쪽으로 12일을 가면 나오는 얼어 죽을 듯 추운 섬” 그리고 “1년 중 9
달
은 눈이 오고 3
달
은 우박이 내리는 곳”이라고 설명했어요. 또, 히컵은 오로라를 배경으로 투슬리스와 함께 날기도 했지요. 마지막 단서는 버크 섬이 바이킹 마을이라는 거예요. 단서들을 조합하면 버크 섬은 매우 춥고 ... ...
[이
달
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노력이 필요하다. 뇌 가소성은 성인보다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뇌가 계속 발
달
하고 있는 청소년의 경우 도파민 경로의 생성과 소멸이 성인보다 더 쉽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행동과 습관이 중요한 건 이 때문”이라며 “이때 잘못된 쾌락의 경로가 만들어지면 ... ...
[이
달
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한국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는 국내 최초로 바이오중유를 연료로 사용한 화력발전소입니다.” 김형원 한국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 발전운영실 차장의 설명을 들으며 발전소 내부에 들어서자 보일러와 터빈이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화력발전소는 석탄, 석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다양한 연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무동력 횡단 등 지금까지 인류는 큰 목표에 도전하고 이를
달
성해왔다”며 “언젠가는
달
탐사를 넘어 화성, 금성, 외계행성을 탐사하고 거주할 날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내용을 정리해 제출하면 성적에 반영하죠. 낯선 교육 방식이지만, 지난 학기에는 두
달
사이에 약 2000개 글이 올라올 정도로 반응이 좋고 강의 만족도도 높습니다. Q 부작용은 없을까요? 무조건 코딩에 의존하라는 게 아닙니다. 수학 개념을 완벽하게 익힌 뒤에 ‘활용’하는 거죠. 예를 들어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봤을 때 위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 머무는 것처럼 보아는 궤도. 일부 과학자들은 인공
달
이 지구의 야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어요. 이에 중국 하얼빈공학대학교 강 웨이민 교수는 “노을빛 정도의 부드러운 빛이기 때문에 생태계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슈퍼지구를 지나 어느새 이번 여행의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마지막 정거장은 우리은하입니다. 우리 태양계가 속한 곳이지만 아직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훨씬 많은 미지의 세계죠. 이곳에서는 여러분의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랍니다!” 우리은하는 바람개비처럼 빙글빙글 돌 ... ...
[이투스 입시정보] 물리학과, 미시와 거시의 세계를 넘나들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매력은 과연 무엇일까요?물리학과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이투스 이
달
의 학과 : 물리학과 > 바로가기 -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물리학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물리학과 > 자세히 ... ...
[이
달
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산소가 적은 고산지대에 완벽히 적응한 개체다. 따라서 다른 고양잇과 동물과는
달
리 설표범만이 지닌 유전자가 무엇인지 밝히면 저산소증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조 소장은 “해독된 게놈 지도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이미 멸종된 종을 살릴 수도 있다”며 “조지 처치 미국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