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온클 꿀팁 대 방출! 지사탐으로 슬기로운 여름방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빛에서 밤에도 우는지 알아보는 탐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8월 28일에는 유튜브에서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국제 박쥐의 밤이 열린답니다. 지사탐도 참여할 계획이니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지사탐 AS쇼]탐사가 어렵나요? 이렇게 해 보세요.지사탐 본부로 대원들의 ... ...
- [특집] 폭염의 이유는 열돔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한 자리에 오래 머물게 돼 최악의 열돔 현상이 나타났답니다.그런데 지난 7월 8일, 세계기상원인분석(WWA)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네덜란드 기상청 등 국제 연구팀은 이번 열돔 현상이 기후변화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기후모델을 만들어 지구 평균 ... ...
- [헷갈린 과학] 똑같은 거 아녔어? 요가 VS 필라테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요제프 필라테스가 1920년대에 처음 고안한 운동으로, 요가에 비해 역사가 짧아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포로수용소에 있던 요제프 필라테스가 포로들이 좁은 공간에서도 침대 등 간단한 기구를 활용해 운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지요. 어릴 적부터 지구력을 키우려고 두루 배웠던 요가, 쿵푸, ... ...
- [가상 인터뷰]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에서 번식 시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코, 기관지 등을 통해 감염된다고만 알려져 왔지. 그런데 지난 7월 2일, 기초과학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내가 몸으로 침입할 때 처음 노리는 곳을 알아냈더군. 처음 노리는 곳이 어딘데?연구팀이 감염 초기의 코로나19 환자의 세포와 감염되지 않은 사람의 세포를 비교 관찰했어. 그 결과, 코로나19 ... ...
- [통합과학 교과서] 소행성 B612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넓히기오케스트라 연주자들의 자리를 바꿔라?! 지난 5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와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에어로졸로 전염될 수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어요. 그래서 실내를 잘 환기하는 것은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 꼭 필요한 일이 되었어요. 오케스트라 공연장도 예외는 ... ...
- 크리스마스트리가 위험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전 세계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가장 사랑받는 ‘구상나무’의 고향이 우리나라라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런데 정작 우리나라에선 구상나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어요. 최근 국립산림과학원이 한라산의 구상나무를 조사한 결과, 나무에 맺힌 열매의 개수가 지난해보다 크게 줄었어요. 총 45그루를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은밀하고 위험한 폭력, 혐오 표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있어요. 이에 따라, 차별금지법 같은 법안을 만드는 방향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UN의 세계 인권 선언 제2조에는 “모든 사람에게는 인종, 피부색, 성별, 언어, 종교, 정치적 입장이나 사회적 출신, 재산, 신분과 같은 모든 유형의 차별에서 벗어나 모든 권리와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다”고 쓰여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산호초가 다져지면 석회암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하얀 백사장, 푸른 바닷물, 늘씬한 야자수, 뜨거운 태양! 안녕하세요. 지질학자 우경식입니다.이곳은 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연방국에 있는 산호초. 저는 방금 바닷 ...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6000t이 배출돼요.게다가 담배를 만들고 버리는 모든 과정이 환경에 악영향을 미쳐요. 전 세계에서 매일 150억 개비의 담배가 팔리고 있는데, 담배 300개비를 만들기 위해 한 그루의 나무가 사용돼요. 그리고 어과동 ‘줍깅’ 탐사 기록을 보면 담배꽁초는 도로, 산속까지 수많은 공간에 나뒹굴고 ... ...
- [기획] 여행지까지 단숨에! 초음속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오버추어는 이보다 두 배나 빨리 날아가는 거예요. 초음속 비행기가 널리 쓰인다면, 전 세계 비행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들 거예요. 초음속 비행기가 이번에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니에요. 1976년 처음 선보인 콩코드 여객기는 마하 2로 비행했지만, 지나친 소음과 연료 소비 문제로 어렵게 운영하다 200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