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됐어. 세계가 함께 지켜야 할 문화유산으로 가치를
인정
받은 거지. 통일신라시대에 완성된 불국사는 원래 80동이 넘는 건물이었대. 지금보다 10배나 더 컸다는 거지.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탄 뒤로 조금씩 복구해서 현재에 이르렀어.아름다운 돌계단을 올라 ... ...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대수기하학과 정수론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어. 2003년에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인정
받아 아벨상도 받았지. 아벨상은 노르웨이의 수학자 아벨의 이름을 딴 상으로 아벨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졌어. 필즈상은 나이 제한이 있어 연륜이 있는 수학자는 상을 못 받잖아. 그래서 나이 제한이 없는 ... ...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뜻한다. 세계 인구 절반의 손톱을 담당하는 손톱깎이 '777'은 이름만큼이나 품질을
인정
받고 있다.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문을 연다는 의미로 이름붙인 '7-Eleven'은 영업시간보다 7이라는 숫자 때문에 더욱 기억에 남는다.오늘도 어김없이 7시 7분은 찾아온다. 좋은 곳이면 언제나 함께하는 7을 ... ...
PART 3 똑똑한 곤충의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사람은 독일의 칼 폰 프리쉬 교수다. 칼 폰 프리쉬 교수는 꿀벌의 언어를 해석한 공을
인정
받아 197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꿀벌의 춤을 관찰한 뒤 속도와 거리와의 관계, 그리고 소리와 거리와의 관계를 알아 낸 것이다. 수학에서 이와 같이 서로 영향을 받아 변하는 관계를 상관관계라고 한다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주장하는 ‘사회생물학’ 등은 새로운 논란을 낳고 있다”며 “진화론이 진정한 가치를
인정
받기 위해서는 심각한 왜곡과 극단적인 반론이 제기될 수 없는 더욱 분명한 근거를 찾아내 상대방을 설득해야 하고 과학이 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최재천 교수는 사회나 경제처럼 진화론이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미국 하버드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 역시 많은 유전자를 한꺼번에 조작할 필요성은
인정
하지만 게놈 전체를 합성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고 있다. 처치 교수팀은 수십 개의 유전자를 게놈에서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해 지난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 ...
part 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실험 과정을 남들과 공유해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여러 사람에게
인정
받는다. 따라서 실험 보고서에는 연구자의 생각 흐름과 실험 방법,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이 잘 드러나야 한다. 물론 학생이 실험 보고서를 쓰는 데는 이외에도 다른 목적이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실험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거론할 때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지목되는 ‘녹색혁명’이다. 볼로그 박사는 이 공로를
인정
받아 과학자로는 드물게 197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0년 4월호 ‘GMO는 인류 식량문제 해결할까'- 인류는 생명을 과학적으로 탐구해 유전법칙이나 유전물질 같은 다양한 지식을 얻어왔다. ... ...
‘솔직한 인간’이 밝히는 인간의 실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학계에 발표됐던 다양한 가설을 자기 성찰식으로 표현하고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인정
받고 있는 가설이 무엇인지 이유를 밝혔다.현재까지 인간에게 털이 없어지게 된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은 ‘기후가 따뜻해져 더워서 벗었다는 주장’이다. 진화 초기에 원인들이 숲을 떠나 아프리카의 초원으로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썼다. 실패를 교훈 삼고 발사 준비 과정에서 노하우를 얻은 부분이 많다는 점을 100%
인정
하더라도 우주개발 역사에서 ‘절반의 성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나로호 발사 실패 직후 홈페이지에 나로호 발사 실패를 명시했다. ‘성공’ 아니면 ‘실패’뿐이다. 문제는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