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잡터뷰] 과학으로 범죄 흔적 찾는 법과학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회상하며 “당시 밤을 꼬박 새우다시피 동물실험을 하며 만든 검사법이 범죄자 적발에
활용
되고 있다는 것이 법과학자로서 가장 큰 자부심”이라고 말했다.법과학자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부분은 또 있다. 국민의 안전에 크게 이바지한다는 점이다. 고된 분석에도 이들이 계속해서 범죄의 흔적을 ... ...
그래프│합리적인 자가격리 일수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7일까지 줄이고 있지. 이들은 적절한 자가격리 기간을 판단하기 위해 나, ‘그래프’를
활용
하고 있어. 코로나19에 걸린 사람과 밀접 접촉하거나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온 사람은 14일 동안 다른 사람과 만나지 않도록 집에서 자가격리를 해야 해요.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바이러스 잠복기를 14일로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당시의 대기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 과거의 기후나 환경파악할 때
활용
하고 있지요. Q 연구결과처럼 나무로 초신성 폭발도 알 수 있을까요?매우 흥미로운 연구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 같네요. 왜냐하면 초신성 폭발과 나이테가 형성된 시간을 측정한 데이터는 오차 범위가 ... ...
[질문하면 답해줌!] 왜 혀를 닦으면 헛구역질이 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손상된 청각 장애인도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요. 따라서 일부 보청기는 골전도 원리를
활용
해 개발되기도 하지요. 또한, 물속이나 화재 현장처럼 주변의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널리 사용된답니다. Q 인간은 잠을 자지 않을 수 없나요? / 이영채(jasica817) 1983년, 미국 시카고대학교 심리학과 앨런 ... ...
신속PCR 쟁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여주시에서 진행한 타액 검사 결과가 있는 만큼 이를 토대로 타액 검사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속PCR 진단시약의 정확도가 기존에 비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서울대의 이번 결정은 소수의 확진자를 찾아내는 것보다 대다수의 음성인 ... ...
제23회 전국학생 통계
활용
대회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선택한 주제에 대한 결론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죠. 아래 작품처럼 통계청 전국학생통계
활용
대회 홈페이지에서 2020년 대회 수상작들을 참고해 나만의 통계 포스터를 만들어보세요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개발했다. 기존에는 많은 연산을 위해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활용
해야 했다. 김 교수는 초차원 컴퓨팅에 기반해 메모리만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을 개발해 소프트웨어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 ‘마이크로(MICRO)’에서 발표했다.김 교수는 “초차원 컴퓨팅은 ... ...
[이달의 책] 인공위성과 함께 세계 여행을 떠나보자 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다. 이 책은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되며 더욱
활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 ...
확률│자가검사키트 결과 믿어도 될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신속 항원검사가 실시간 유전자 증폭보다 민감도가 낮은 이유는 채취한 내용물을 그대로
활용
하기 때문이에요. 실시간 유전자 증폭은 바이러스의 유전자 양을 늘려서 확인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양이 적어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신속 항원검사는 바이러스 양이 적을 때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을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했습니다. 지난 50년 동안 홍릉수목원에 있는 나무 73종의 개화 시기와 기상 정보를
활용
했지요. 분석 결과, 나무의 개화 시기는 50년 전과 비교해 약 8.5일 정도 빨라졌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또 기온이 1℃ 상승하면 평균 1.2일, 강수량이 1mm 많아지면 약 2.6일씩 식물의 개화 시기가 빨라졌습니다. 이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