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배"(으)로 총 6,62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민정에게는 친구가 없었다.친구가 집으로 놀러 오는 일은 더더욱 없었다.그런데 같이 살았던 사람이 있다니.진원은 민정의 방에서 발견된 DNA의 흔적들이,그 방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말해준다고 했다.DNA가 말하는 진실을 듣는 것이… 두렵다.- 성준의 독백 - #1 진원의 사무실성준: 그게 무슨 소 ...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여긴 어디지? 빽빽이 들어찬 작은 집들 때문에 어디가 어딘지 하나도 모르겠어. 그런데 저기 드론이 떠 있네! ‘찰칵’거리며 사진을 찍는 것 같은데…. 드론이 이런 데서 대체 뭘 하는 걸까?지난 2015년 4월, 네팔에 진도 7.8의 대지진이 발생했어요. 학교, 관공서 등 주요 건물과 시설물이 파괴되며 많 ... ...
- [과학뉴스] 패혈증 잡는 나노입자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실을 발견했다. 여기에 지르코늄 이온을 결합시켰더니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2배 높아진 것이다. 이렇게 하면 몸속에 나노입자가 들어갔을 때 독성을 최소화시키고,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연구팀이 급성 패혈증을 겪는 쥐에게 이 나노입자를 투여하자, 감염 2주 내 생존율이 약 2.5배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어느 깜깜한 밤, 가로등도 없는 시골 길을 상상해 보자. 갑자기 동이 트는 것처럼 지평선에서 희끄무레한 빛이 솟더니, 곧 신문의 글자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주변이 밝아졌다면 믿을 수 있을까. 그런데 이런 신비한 현상이 실재한다. ‘밝은 밤’ 현상은 2000년 전부터 관찰됐지만, 지금까지 납득할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세계 여러 나라들이 선거의 미래를 블록체인에서 찾고있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하나의 덩어리(블록)로 보고 이것을 차례로 연결한(체인) 기록 장부다. 이 기록 장부는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에 분산돼 저장된다.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반 기술이다.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여러 사용자에게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현대인들의 자외선차단제 사랑은 유별납니다. 365일 맑을 때나 흐릴 때나, 어떨 때는 두 시간에 한 번씩도 바르곤 하니까요. 하지만 이렇게 애용하는 자외선차단제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미국에선 사용자의 절반이 라벨의 의미조차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는 재밌는 통계가 있던데요. 몰라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느릿느릿 소, 알고 보니 전략가!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정수 남매 : 미국 클락슨복잡계과학센터는 미국 과학학술지 ‘카오스’ 6월호에 들판에서 풀을 뜯는 소 떼의 움직임을 분석해 발표했어요. 여유로운 듯 보이지만 늘 눈치를 보고 다음 행동을 결정하는 소 일가를 만나봤습니다.소1 : 우리는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움직이며 풀을 챙겨 먹 ... ...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불이 나면 소방차는 가능한 빨리 달려가야 합니다. 서울연구원이 2010~2014년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을 분석한 결과, 소방차 출동 시간이 5분을 넘으면 재산 피해가 3배 이상으로 늘었습니다. 피해를 줄이려면 모든 지역까지 5분 안에 갈 수 있는 곳에 소방서를 세워야 해요.이처럼 건물의 위치를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흙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특이한 믿음 때문은 아니다. 엄마가 먹고 할머니가 먹으니, 자연스럽게 먹는다. 기원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설이 있지만, 무엇도 확실치는 않다. 딱 하나 분명한 건, 더 이상 무분별하게 흙을 먹어선 안 된다는 사실이다.흙을 먹는 행동을 의학 용어로 ‘토식증’이라고 한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14년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둔 어느 날, 노르웨이 남동부, 특히 오슬로 주변의 광활한 하늘에 ‘진주구름’이라고 부르는 기상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당시 필자는 집에 있다가 창문을 통해 갑작스럽게 이 구름을 보게 됐죠. 일몰이 시작되고 약 30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바로 카메라를 집어 들고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