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선
보트
보우트
동력선
모터보트
함재정
작은보트
뉴스
"
작은배
"(으)로 총 1,3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미국의 저널리스트 플로렌스 윌리엄스가 2012년 출간한 ‘Breasts’. 2012년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과 1952년 미국 휴스턴에서 실시된 첫 번째 유방확대수술 50주년이 되는 해다. 사진은 2013년 나온 페이퍼백. - 강석기 제공 샤워장이나 봄철 대학캠퍼스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여 ... ...
깨알만한 진드기, 치타보다 빠르다고?
과학동아
l
2014.05.02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사막에 서식하는 진드기(Paratarsotomus macropalpis) - 위키피디아 제공 육상동물 중 가장 빠른 동물은 뭘까. 먹잇감을 포착하는 순간 시속 100km로 내달리는 치타가 1등으로 꼽힌다. 그런데 빠르기의 기준을 ‘초당 몸길이의 몇 배나 이동하나’로 바꾸면 순위가 확 달라진다. 참깨 ... ...
태양빛으로만 12시간 떠있는 경비행기
과학동아
l
2014.04.30
선시커 듀오 - 솔라 플라이트 제공 친환경 태양광에너지만으로 12시간 이상 비행이 가능한 2인승 경비행기가 개발됐다. 미국 태양광 비행기 제조업체 솔라 플라이트는 태양빛을 동력원으로 하는 2인승 경비행기 ‘선시커 듀오’에 대한 성능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최근 자사 홈페이 ... ...
영화 ‘캡틴 아메리카’ 속 공중 항모, 실제로도 있나
과학동아
l
2014.04.29
영화 ‘캡틴 아메리카; 윈터솔져’의 한 장면. 하늘을 날아다니는 거대한 항공모함이 등장한다. - 마블 제공 인기리에 상영되고 있는 미국 영화 ‘캡틴 아메리카: 윈터솔져’를 보면 거대한 항공모함(항모) 세 척이 하늘을 날아다닌다. 바다에서 전투기를 출격시키는 항모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 ... ...
남성성, 1억8000만 년 전에 생겼다
과학동아
l
2014.04.27
네이처 제공 인간, 코끼리, 주머니쥐…. 여러 동물들의 실루엣을 합쳐서 만든 커다란 Y가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인간의 남성을 포함해 ‘수컷’을 만드는 염색체인 Y를 형상화한 것이다. Y염색체에는 유전자가 고작 20여개 밖에 들어있지 않다. 1000개 이상 유전자가 들어 있는 커 ... ...
지름 250km '커리클로'서 고리 발견…'중력 가설'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4.04.18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우리 지구가 있는 태양계 행성 중 아름다운 고리를 갖고 있는 행성이다. 듣기만 해도 알 만한 친숙한 이름들이다. 하지만 이런 느낌만큼이나 많이 알고 있을 것 같지만 정작 우리는 이들의 고리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아직 모른다. 최근 태양계에서 고리를 가진 또 다 ... ...
오, 제법인데? 초파리 '회피기술'
과학동아
l
2014.04.13
초파리는 100분의 1초만에 위험을 인지하고 몸의 방향을 90도이상 틀어 마치 경주에서 뱅크드 턴 구간을 '구르는 것'처럼 보인다. - 워싱턴주립대 제공 자전거나 자동차 경주에서 승부를 가르는 곳은 바로 굽이진 트랙인 '뱅크드 턴'이다. 밖으로 튕겨나가려는 힘인 '원심력'을 잘 극복하고 뱅크드 ... ...
대통령 암살, EMP탄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14.04.11
드라마 '쓰리데이즈'에는 EMP무기가 터지면서 일대가 정전되고 전자장비가 작동을 멈추는 장면이 소개됐다. - SBS 제공 전봇대에 있던 수상한 전자기기가 터지자 강력한 전자파가 일대로 퍼져나가고 주변 마을은 삽시간에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에 빠진다. 휴대전화는 먹통이 됐고, 달리던 자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커리클로의 지표에서 바라본 고리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불과 250킬로미터 상공에 펼쳐져 있다. 멀리 빛나는 천체는 태양이다. - ESO 제공 보통 비슷한 특성을 지녀 한 무리로 묶이는 경우 가장 큰 것이 주목을 받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얼마 전 진주에 떨어진 운석의 경우도 처음 발견된 9.36kg짜리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쎈 놈' 온다
과학동아
l
2014.04.02
매끄러운 평면이었던 기존 탐침(캔틸리버) 표면에 다공성 구조를 만들자 신호 증폭이 일어나 다양한 종류의 분자를 더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됐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공진 주파수를 이용해 바이러스와 슈퍼박테리아는 물론 유해한 화학물질을 신속 정확하게 탐지해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