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성
사나이
사내
젠틀맨
신사
대장부
남
d라이브러리
"
남자
"(으)로 총 1,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엘니뇨가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그래서 어부들은 고기를 잡으러 가지 않고 가족들과 크리스마스를 즐길 수 있다. ‘
남자
아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엘니뇨(El Nio)가 ‘아기예수’라고 불리는 이유다. 이 현상은 보통 한달 가량 지속된다.그러나 최근에는 개념이 바뀌었다. 즉 겨울마다 나타나는 계절적인 현상이 아니라 언제라도 ... ...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여행에 흥미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60%가 흥미가 있다고 대답했다. 이 중 20대 성인
남자
의 비율은 85%를 웃돌았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태어난 지구의 푸른 빛을 먼 발치에서 목격하고 싶었던 모양이다.만약 기술적으로 우주 식민지 시대가 도래한다면 과학은 인간에게 우리가 살고 있는 ... ...
돌고래 수영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될까? 그 속도는 놀랍게도 시속 60km에 이른다. 이 기록은 육상경기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남자
1백m 세계기록인 9초 84, 즉 약 40km/시를 능가한다. 공기보다 저항이 훨씬 큰 물속에서 돌고래가 빠르게 헤엄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물속에서 빠르게 헤엄치려면 속도가 커짐에 따라 늘어나는 물에 ... ...
외계인의 습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옷을 입고 나타났던 것이다.외계인들은 굳은 얼굴로 사람들을 둘러보았다. 그러더니
남자
쪽이 입을 열었다.“만나서 반갑소. 우선 이것이 우리의 본 모습이 아니란 걸 밝혀두겠소. 지구인이 받을 충격을 우려해서 지구인의 모습을 했다는 걸 이해하길 바라오.”매우 유창한 한국말이었다. 일본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믿게 되었다.궁둥이가 넓적하고 젖가슴이 불룩하면 허리는 당연히 가늘어 보인다.
남자
들이 허리가 잘록한 여자를 선호하는 이유가 어느 정도 해명된다. 오늘도 수많은 여자들이 코르셋으로 허리를 졸라매는 고통을 기꺼이 감내하는 까닭은 허리의 가늘기를 속이지 않고서는 흉부와 둔부에 분포된 ... ...
1. 귀걸이 단
남자
가 좋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나오지 않을까. 이제 창의적인 연구에도 귀걸이를 달 필요가 있지 않을까."귀걸이 단
남자
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년 전 대학원생들과 함께 식사하던 자리에서 불쑥 나온 질문이었다. 이외의 질문에 다소 당황했지만 생각하는 바를 이야기했다. "모든사람은 각기 다르다. 그런데도 무조건 다른 ... ...
남과는 다른 개성 창의성을 키워라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그러므로 신병훈련소와 같은 교육 풍토에선 창의성은 길러지지 않는다. 귀걸이 단
남자
도 OK. 교과서는 필요없다. 진리는 반증을 통해 뒤집힌다. 영재교육의 산실인 KAIST에서 미래 한국의 사활을 걸고 실시하는 창의성 교육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본다 ... ...
아기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힘으로 난자의 세포막을 관통할 수 없기 때문에 난자와 혼합해도 수정이 되지 않는
남자
들에게 시술한다. 또한 사정능력이 없거나 무정자증인 남성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고환에서 정자를 생산하는 세포를 떼어내서 난자에 주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최초의 ICSI 아기는 1992년 벨기에에서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사람의 성기관 중에서 가장 큰 것은 무엇일까. 이 질문을 받은 사람들은 대개 배꼽 아래를 생각하기 십상이다. 발기한 음경을 연상하기 때문이 ... 동남 아시아로 비행기를 타고 가서 정력에 좋다는 갖가지 동물을 먹어치우는 우리 이웃
남자
들의 꼬락서니가 겹쳐 떠오르는 것은 어인 일일까 ... ...
3. 우리는 왜 애니메이션을 좋아할까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신데렐라’류 멜로물이다. 우리의 ‘신데렐라’ 주인공이 피터팬 같은 능력을 갖은
남자
주인공의 그림자 안에서만 행동하게 되는 구태의연한 이야기. 우리는 왜 그런 이야기에 끊임없이 빠져들고, 재미있어 하는 것일까. 그것은 드라마가 우리의 감성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인간 감성의 본질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