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뉴스"(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먹기만 해도 살 빠지는 칩 탄생!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왕쉬둥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재료 공학과 교수팀이 다이어트와 운동보다 효과적이고, 수술보다 상처를 덜 내는 체내 이식 칩을 개발했다(오른쪽 사진). 연구팀이 개발한 장치는 길이 1.6cm, 폭 1.2cm, 두께 2.5mm로, 위 외벽에 부착된다. 이 장치의 목적은 음식을 먹을 때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조절 ... ...
- [과학뉴스] 헉! 치실에서 발암성 물질 검출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국 유방암 예방 관련 비영리단체인 침묵의 봄 연구소(Silent Spring Institute)의 캐서린 보로노우 연구원팀이 일부 치실 제품에서 발암물질로 의심되는 과불화화합물인 PFAS가 검출됐다고 환경및공공보건분야 학술지 ‘노출과학및환경역학저널’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PFAS는 열에 강하고 제품의 오염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용해 개의 언어를 번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2018년 1월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동물은 언어의 모든 요소를 갖춘 정교한 의사소통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며 “인간이 동물과 의사소통하게 된다면 반려동물의 행동을 추측에 의존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화산 폭발은 한번 발생하면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것은 물론 넓은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무서운 자연재해입니다. 폭발 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예측하는 기술이 중요하죠. ‘화산 모형’은 이러한 화산 폭발을 예측하는 연 ... ...
- [수학뉴스] 당신이 같은 선택을 반복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친구들과 내기를 할 때 질 확률이 높은 걸 알면서도 같은 선택을 반복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의 한 연구팀이 그 이유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7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스리데비 사르마 바이오의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사람이 의사결정하는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마이클 아티야 별세수학동아 l2019년 02호
- 20세기를 대표하는 수학자 중 한 명인 마이클 아티야가 2019년 1월 11일, 9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2018년 9월,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주장한 지 4개월 만입니다. 기하학과 수리물리학에 많은 업적을 남긴 아티야는 공간의 특성을 표현하는 ‘K-이론’을 발 ... ...
- [과학뉴스] 순간포착! 애벌레 부화 담은 호박화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리카도 페레즈드 라 푸엔테 박사팀이 1억 3000만년 전 칠성풀잠자리애벌레가 알에서 태어나는 순간이 담긴 호박화석을 발견했어요. 애벌레가 알을 깨고 나올 때 쓰는 톱날 모양 기관도 그대로 남아 있었지요. 부화 과정은 매우 짧고 알껍데기를 깨는 기관은 빠르 ... ...
- [과학뉴스] 변신 드론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지난 12월 18일, 스위스 취리히대학교와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은 비행하면서 모양과 크기를 바꿀 수 있는 드론을 발표했어요. 이 드론은 회전날개가 달린 팔을 움직여 기본형인 X자부터, H자, T자, O자 모양으로 변신해요. 연구팀이 개발한 드론의 4개의 팔에는 각각 회전날개가 있고, 중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국 연구진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마크 투진스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3D 프린터로 제작한 척수 치료용 인공 임플란트를 척추 부위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학’ 1월 14일자에 발표했 ... ...
- [과학뉴스]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국 연구진이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후각의 비밀을 푸는 데 성공했다. 스타브로스 롬바르다스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쥐 실험을 통해 한정된 수의 유전자만으로 수많은 냄새를 구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의 경우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